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기계공학

기러기오디오
기러기오디오

하늘을 나는 자동차 개발에서 가장 큰 기계공학적 난제는?

안녕하십니까.

플라잉카 개발이 진행 중인데, 실제로 기계공학적인 관점에서 하늘을 나는 자동차의 개발에 있어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는 무엇이 있는지 전문가분들의 의견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하늘을 나는 자동차(플라잉카)개발에서 가장 큰 기계공학적 난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에너지 밀도와 경량화 : 비행을 위한 충분한 에너지를 저장하면서도 차체 전체의 무게를 최소화하는 기술이 핵심입니다. 현재 배터리는 용량 대비 무게가 많이 나가고, 수소등 대체 연료는 대량 생산의 어려움과 위험성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효율적인 에너지원을 경량화된 형태로 탑재하는것이 중요합니다.

    2. 추진 시스템 및 안정성 제어 : 수직 이착륙(VTOL) 및 다양한 비행 모드에서 안정적인 비행을 가능하게 하는 복잡한 추진 장치 설계와 정교한 제어 기술이 요구됩니다. 특히 공중에서의 돌발 상황에 대비한 안정성과 신뢰성 확보가 매우 중요합니다.

    3. 소음 저감 기술 : 도시 환경에서 운용될 플라잉카는 낮은 소음 수준을 유지하는것이 핵심적인 과제입니다.

    이외에도 지상 주행과 비행을 모두 가능하게 하는 복합적인 제어 시스템 개발, 경량화 소재 적용 등 다양한 기계공학적 도전 과제들이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난제들을 해결하는데 아직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추진력입니다. 양력을 이용하여 기체를 띄울 경우 엄청난 속도가 필요하기 때문이죠.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하늘을 날게 하려면 매우 가벼운 차체를 가져야 하며 충돌과 추락 시에도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가볍고 강한 재료가 필수적이다 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또한 이륙과 비행에 필요한 충분한 출력 효율성을 갖춰야 하며 비행 중 안정성과 조종 제어를 위한 고급제어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이처럼 플라잉카 개발은 매우 어려운 기계공학적 난제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