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건강관리

식습관·식이요법

종종미려한신사
종종미려한신사

기대수명? 평균수명? 이란 정의가 궁금합니다

네이버에 기대수명 평균수명이라고 치면 0세를 기준하여 83세 정도로 나온다. 그럼 2023년에 태어난아이가 83세까지 산다는얘기지 지금 50세가 넘은 내가 83세를 살걸로 기대한다. 평균수명이다.는 아닌거 같은데 맞는 풀이인가요? 사무실에서 다들 평균수명 얘기할때 50세 60세 되는 사람들이 다들 80세 90세 사는것처럼 평균수명을 얘기해서요. 통계로 보면 제가 70년대 중반에 태어났으니까 70세 이하로 봐야 정상인거죠? 케바케는 다르겠지만 통계적으로 그러고 건강나이는 더 어릴거고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임원종 영양사입니다.

    질문 잘 읽어보았습니다.

    기대수명은 올해 태어난 0세 아기가 현재의 연령별 사망 수준이 앞으로도 그대로 유지된다고 가정할때 살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생존연수입니다.

    통계청은 평균수명이라는 말이 사망자 평균연령과 혼동돼서 지금은 주로 기대수명인 출생시 기대여명을 쓴다고 합니다.

    그래서 2023년 한국의 0세 남녀 합한 기대수명 83세는 2023년에 태어난 아기가 평균 83세까지 산다는 뜻이지 현재 50대인 사람이 모두 83세까지 산다는 뜻은 아닙니다.

    현재 50대인 사람에게는 남은 평균 수명인 연령별 기대여명을 봅니다. 2023년 통계청 표에 따르면 50세 남성은 앞으로 32.3년 여성은 37.6년을 더 살것으로 추청됩니다. 그래서 기대연령은 약 남자는 82.3세 , 여성은 87.6세입니다. 60세는 남 23.4년, 여 28.2년입니다. 즉 60세의 기대연령은 약 남자는 83.4세, 여 88.2세가 됩니다.

    그런데

    이런 기대여명도 현재의 사망수준이 계속된다는 가정에 근거한 통계적 기대치이며 개인 보장값은 아닙니다!

    건강수면은 질병과 손상으로 건강하지 않은 기간을 빼버린 건강하게 살 것으로 기대되는 연수로 일반 기대수명보다는 짧습니다.

    따라서 사무실에서 말한 평균수명 80대는 대개 0세 기대수명입니다. 질문자님의 해당하는 연령별 기대여명까지 넓게 말한것입니다. 즉 질문자님의 개인 생활습관과 질병 유무에 따라서 실제 수명과 건강하게 보내는 기간은 달라지게 됩니다.

    참조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평균수명은 과거이며,

    기대수명은 미래입니다.

    평균수명은 "이 집단이 실제 살았던 나이의 평균"입니다. 여기서 핵심은 "실제" 입니다.

    쉽게 "언제 죽었다"

    기대수명은 "이 집단이 얼마나 더 살지"입니다. 여기서 핵심은 "얼마나" 입니다.

    "언제 죽냐...."

    건강수명이라는 것도 있습니다. 이는 기대수명에서 질병이나 부상으로 고통받는 기간을 제외한 시간입니다.

    전세계적으로 의료기술과 제약기술의 발전과 발달로 기대수명은 늘어나고 있습니다.

    다만, 건강수명은 계속 제자리 입니다. 이를 해석하면 오래 살것으로 예상은 되지만 침대에 누워있는 시간이 많다는 것을 뜻합니다.

    고령화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