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공학 이미지
화학공학학문
화학공학 이미지
화학공학학문
시뻘건무당벌레33
시뻘건무당벌레3323.05.14

스프레이가 분사되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각종 스프레이를 많이 쓰는데요.

락카나 헤어스프레이

청소용 스프레이 등등

종류도 여러가지입니다.

스프레이가 분사되는 원리가 궁금하고

인체에 해로운 점은 없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스프레이의 경우는 액체 내용물과 함께 실온에서 쉽게 기화하는 액체 가압제를 첨가한다. 용기 내에서 이 액체 가압제는 쉽게 기화하여 용기 내부를 고압의 상태로 만든다. 스프레이 노즐을 누르면 용액에 담긴 튜브의 입구가 열려 고압으로 압축된 액체가 분사되는 것이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스프레이가 분사되는 원리는 주로 압력과 용적의 변화에 기반합니다. 스프레이는 일반적으로 압력이 높은 용기 안에 액체나 가스가 들어 있으며, 스프레이 버튼이 눌리면 용기 안의 액체나 가스가 스프레이 헤드로 이동하고, 스프레이 헤드 내부에 있는 작은 구멍을 통해 빠져나오면서 분사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스프레이 손잡이를 잡아 압축시키면 피스톤이 안으로 밀리게 됩니다.이로 인해 펌프내부의 압력이 증가하여 유입발브가 닫히면서 액체유입이 차단되고동시에 유출밸브가 열러 펌프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가게 됩니다.

    그리고 스프레이 손잡이를 놓으면 스프링에 의해 피스톤이 제자리로 돌아가펌프 내부압력이 낮아지면서 유출밸브와 유입밸브의 개계는 가와 반대가 되어 용기속의 액체가

    펌프내부로 유입이 됩니다.

    다시 스프레이 손잡이를 잡아 압축하면 피스톤이 안으로 밀려 펌프내부에 차있던 액체의 압력을 높여 유출관 쪽으로 액체를 밀어올리게 됩니다.유출관으로 올라온 액체를 작은 입자로 분사하기 위헤 좁은 구멍의 노즐이 필요하며 노즐의 구멍이 좁기 때문에 액체가 노즐을 빠져 나가기 위해서는 높은 압력이 필요한데 이렇게 높은 압력에 밀린 액체를 좁은 구멍으로 보내면 액체의 공기와 부딪치면서 안개처럼 작은 방울로 뿜어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스프레이는 일반적으로 액체나 가스를 미세한 입자로 분무시키는 장치입니다.

    액체 스프레이는 일반적으로 펌프나 스프레이 버튼을 눌러 압력을 가하면 분사됩니다. 스프레이 본체 내부에는 액체가 들어있고, 스프레이 버튼을 누르면 스프레이 본체 내부에서 액체가 압력을 받아 분사됩니다.

    가스 스프레이의 경우, 스프레이 본체 내부에는 압축된 가스가 들어있습니다. 스프레이 밸브가 열리면 높은 압력을 가진 가스가 스프레이 본체 내부에 저장된 액체를 추출하여 분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에어를 양을 조절하는 부분과페인트를 저장 공급하고 진공으로 당기는 역할을 하는 구조인데
    에어가 노즐에서 분사 될때진공압이 걸리는 부분에 페인트를 공급하여
    에어와 페인트가 함께 분사되어 칠을 하는 것이 원리이며
    페인트의 폭 조절을 위해서에어 커튼이 에어만 공급하는 구조로 되어서 작동하는 것이
    2단계 원리 입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스프레이에는 그 안에 용도에 따라 사용되는 용매와 실온에서 기화되는 액체를 스프레이 통에 넣습니다. 그럼 실온에서 기화되는 액체가 기화되면서 부피가 커져서 스프레이 내부의 압력이 올라가게 됩니다. 이때 스프레이 윗부분의 분사 되는 곳을 누르면 스프레이 통에 입구가 열리면서 사용 용도에 맞는 용매가 기화된 기체와 같이 분사되는 것입니드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스프레이의 분사 원리는 압력차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스프레이의 용기 내부에는 액체와 함께 가압제가 들어 있습니다 가압제는 액체의 압력을 높여주기 때문에 액체가 노즐을 통해 분사되기 쉽습니다 스프레이를 눌러 노즐을 열면 액체가 노즐을 통해 분사되기 시작합니다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고농도로 기체를 압축해서 액상으로 가지고 있다가

    작은 구멍을 통해 액체가 나오면서 낮은 압력(=대기압)을 만나

    순식간의 기화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그에 따라 갑작스럽게 기화되면서 스프레이는 온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기체 스프레이의 경우 내용물을 고압으로 충진을 해 놓은 것입니다.

    따라서 조금만 틈이 생겨도 분출하는 것이지요

    인체에는 당연히 좋은게 없습니다.

    아무리 좋다고 하더라도 화학물질이 인체해 무해 할순 없습니다.

    사용시 주의 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