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귀중한대벌래33
귀중한대벌래3323.09.13

양의학에서 인정하는 한의학의 범위나 치료방법이 있을까요?

나이
39
성별
남성

안녕하세요

양의학에서 인정하는 한의학의 효과나 치료방법이 있을까요? 알고있기론 중의학은 한방과 양방을 나눠서 진료하지않는걸로 알고있거든요 관련해서 중국에서 받은 노벨의학상이 그쪽 계통이라 들었습니다(확인은못해봤습니다)

중국의 의학이 양방과 한방을 둘다 사용한다면 장점이 있다는건데 한국 의학에서는 양의학을 어떻게 보고 있으며 활용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병관 의사입니다.


    현대의학에서는 객관적 데이터가 있는 분야를 의학으로 인정합니다. 예를 들면 10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침을 놓고 호전여부에 대한 데이터vs 침을 안놓은 대조군 비교. 이런 데이터가 있다면 이세상의 모든 치료를 인정합니다. (굿이나 기도 한약등 포함) 굿이 그런 데이터를 가지고 온다면 모든 의사들은 굿을 시작할 겁니다.


    즉, 의사들에게는 객관적데이터가 있는 치료 vs 객관적데이터가 없는 치료 로 구별합니다.


    한의학이 객관적인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면 (대표적 예시 : 침) 모든 분야를 인정하지만,, 안타깝게도 대부분의 한의학은 객관적인 연구가 되어있지 않습니다 (하나의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조'단위의 투자가 필요합니다) 한국에서도 자체개발한 신약이 거의 없죠.. 전세계적인 돈이 투자되어야 약을 개발할수 있는겁니다


    따라서 근거가 있는 의학 + 근거가 없는 의학을 합쳐서 사용한다는건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한의학의 가장 단점은 과학적인 근거가 아직은 부족하다는 겁니다. 임상 시험을 통해서 충분한 근거를 확보한다면 한의학을 인정할 수 있는 범위는 늘어나겠지만 아직은 그게 없다는 것이 한계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양의학과 한의학은 서로 다른 의학 체계이며, 각각의 접근 방식과 원칙을 가지고 있습니다. 양의학에서 인정하는 한의학적 치료는 없습니다.

    양의학은 과학적 기반과 임상 연구를 중시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의학은 중국에서 기원한 전통 의학 체계로, 자연 요법, 침술, 한약 등의 전통적인 치료법을 사용하며, 기운(氣)과 혈액(血) 등의 다소 근거없는 이론을 사용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미국에서는 일반 의사 역시 대체 의학인 침이나 뜸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는 사 보험 제도인

    국가에서는 의료 행위로 인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일반 의사가 한의사처럼

    침이나 뜸을 이용할 수는 없으며 의료법에 위배될 수 있습니다. 이는 현재 한의학에서 일반 의사처럼

    엑스레이나 초음파를 이용하고 있어 문제가 되는 것과 같은 상황입니다. 어느 정도 침이나 뜸이

    관절통이나 신경통, 소화 불량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 있으나 치료 효과가 있는 것인지는

    불분명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