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깍듯한누에286
깍듯한누에28624.02.21

정월 대보름의 유례의 유례와 의미를 알려주세요?

정월 대보름은 우리나라 전통 명절 만큼이나 중요한 절기인거로 알고 있고 부럼이나 귀밝이 술등을 먹는등 하는데요 이런 전통의 유례와 역사적 의미를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보름의 풍속은 농경을 기본으로 하였던 고대사회로부터 풍농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의미로는 달의 상징적 구조를 풀어 보면 달-여신-대지로 표상되며, 여신은 만물을 낳는 지모신 으로서의 출산력을 가집니다. 이와 같이 대보름은 풍요의 상징적 의미 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월 대보름은 음력 1월 15일 새해의 첫 보름달이 뜨는 날입니다. 정월 대보름은 농경 사회에서 풍요와 다산을 기원하며 제사를 지내던 유래된 것으로 추정합니다. 즉 둥글고 가득찬 보름달이 풍요와 다산을 상징하기 때문입니다. 정월 대보름에 대한 기록은 <삼국유사> 권 1 <기이편>에서 신라 소지왕이 정월 보름을 맞아 경주 남산에 천천정에서 산책 기록이 있습니다.

    설날이 집안의 명절이라면 대보름은 마을 행사로 '동제'를 지냅니다. 정월 대보름에는 건강과 평안을 기원하며 여러 민속 놀이와 풍속을 즐깁니다. 대표적으로 달맞이, 연날리기, 별신굿, 지신밟기, 쥐불놀이 등이 있어요. 그리고 오곡밥, 부럼깨기, 귀밝기 술을 마시는 풍속이 있습니다.

    질문의 '부럼깨기' 풍습은 껍질이 단단한 과일을 깨물어서 먹으면 1년 동안 부스럼이 생기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리고 '귀밝이술'은 아침에 데우지 않은 찬 술을 마시면 일년 내내 귀가 잘 들리고 좋은 소식만 듣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 안녕하세요. 염민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월대보름은 한해를 시작하는 달로 모든사람이 화합하고 한해의 운세를 점치고자 시작된 명절입니다.

    달은 풍요와 다산을 상징하며 농사를 시작하는 첫 달을 달이 가득찬 정월대보름으로써

    대 명절로 삼아 한해를 기원하는 의미를 지녔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답변자에게 힘이되는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