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약·영양제

약 복용

정말열혈한떡볶이
정말열혈한떡볶이

약국은 항상 병원 근처에 있는건 왜인가요?

성별
여성
나이대
20대

그게 뭔가 법으로 정해져 있는걸까요?

또 다니던 병원의 처방전으로 먹던 약이나 연고, 로션을

새로 이사온 지역의 병원에서는 약이 없다고 하시면서 다른걸로 바꿔서 처방해주시던데

약국이랑 병원이랑 서로 어떤 약 다룰지 합의하고 처방전을 작성하는 걸까요??

계속 궁금했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상우 약사입니다.

    약국이 병원 근처에 많은 이유는 법 때문이 아니라 편의성과 수익 구조 때문입니다.

    환자가 진료 후 바로 약을 받을 수 있어 접근성과 유동인구가 높은 병원 근처에 약국이 몰리는 건 자연스러운 현상이고, 실제로 법적으로 병원 옆에만 있어야 한다는 규정은 없습니다.

    다만 의원과 약국이 같은 동일 공간에서 운영할 수 없다는 분업 규정은 있어요.

    또한 병원에서 처방하는 약이 다른 지역에서 ‘없다’고 하는 건,

    해당 약국의 재고 상황이나 유통업체 공급 상황, 혹은 의사의 처방 선호 차이 때문이에요.

    병원과 약국이 약을 사전에 합의해서 정하는 구조는 아니고,

    의사는 자기가 신뢰하는 약을 처방하고, 약국은 그 약을 사입해서 조제투약 하는 구조입니다.

    그래서 병원에서 자주 쓰는 약은 근처 약국들이 그에 맞춰 재고를 두는 경우가 많고,

    동네가 바뀌면 약이 없는 경우가 자주 발생합니다.

    참고하세요 ^^

  • 안녕하세요. 길병철 약사입니다.

    약국이 의원 근처에 있어야한다는 법은 없구요, 약국에선 처방전에 의해 수익이 정해지기 때문에 근처에 위치해요.

    그리고 어떤 약을 다룰지 합의하는 것보단, 의원에서 쓰는 약을 준비하는 것에 가깝습니다.

    현재 같은 성분이라도 정말 다양한 회사에서 약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같은 성분이고 회사만 다르다고 해도, 환자분에게 약을 바꾸는 것을 고지해야하는 것 및 의원에서 처방되는 약을 쓰지 않는 것에 부담이 되기 때문에, 보통은 의원에서 자주 사용하는 약을 마련합니다.

    그래서 의원 근처에 있는 약국이 아니라 다른 약국에 가면, 그 약이 마련되어있지 않는 경우가 있는 거구요.


    *의사의 진단, 처방을 대신할 수 없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질문이 있다면 댓글 달아주세요.

  • 안녕하세요.

    약국은 처방전을 받아서 약을 조제하고 있습니다. 진료를 보고 약을 조제하기 편한 형태로 병원과 약국이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 할 수 있겠습니다. 처방전을 들고 어떤 약국을 가셔도 상관 없지만 대체조제를 하지 않고 조제를 받으려면 병원 근처 약국을 가셔야 약을 구하기가 쉽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제 받는 약에 관한 질문을 주셨습니다. 현재 시스템상 전문의약품은 처방을 받고 약을 조제 받도록 되어 있습니다. 처방 받은 약을 대체하지 않고 조제를 하려면, 병원 근처 약국을 방문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모든 약을 구비해두고 있을 수 없는 현실적인 이유로 근처 약국들에서 조제를 하는 것이 현재 시스템에서 편하겠습니다. 법적으로 병원과 약국간의 거리나 위치에 관한 제약이 있는 것은 아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