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운날씨에 왜 노출된곳이 빨개지나요?
추운날씨에 손이라던지 코같은 밖으로 노출된부위가 항상 빨개지나요?
더울땐 안그렇던데 추운날씨에만 그렇게되는 이유가뭔가요?
겨울철에 손이나 코가 빨개지는 건 레이노 현상이라고 불리는데, 추위에 노출되면 우리 몸이 체온을 보호하기 위해 피부 혈관을 수축했다가 다시 확장하면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에요. 대부분의 경우 건강에 특별한 문제는 아닌데, 만약 증상이 심하게 느껴지시면 혈액순환제를 처방받아 복용해보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어요. 평소에 따뜻한 장갑을 끼시거나 보습에 신경 쓰시면 증상이 덜할 거예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날씨가 추워지면 손, 발, 코 등 외부에 노출된 부위가 찬 공기에 의해 혈관이 수축하여 혈액순환에 문제가 생기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 혈액이 모이며 혈관이 확장하며 나타나는 증상 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추운 날씨에 손이나 코 같은 노출된 부위가 빨개지는 것은 인체가 체온을 조절하는 자연스러운 반응입니다. 이는 피부 표면의 혈관이 기온 변화에 적응하려는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추운 환경에서는 체온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혈관 수축(혈관이 좁아짐)이 일어나 피부로 흐르는 혈액량이 줄어들게 됩니다. 그러나 노출된 부위는 환경 온도가 낮아질수록 혈액 순환을 유지하기 위해 간헐적으로 혈관이 확장되면서 혈액이 다시 흐르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피부가 일시적으로 붉게 보일 수 있습니다. 이를 "반응성 혈관 확장"이라고 하며, 추운 환경에서도 조직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려는 신체의 정상적인 기전입니다.
더운 날씨에는 혈관이 확장되어도 주변 온도가 높아 혈액의 순환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고, 혈관이 지나치게 수축되지 않으므로 피부가 빨개지거나 변화가 두드러지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추운 날씨에 빨개지는 것이 지나치거나 통증, 저림, 손발이 하얗게 변하는 증상이 동반된다면 레이노증후군 같은 혈관 질환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추가적인 진료가 필요합니다.
결론적으로, 추운 날씨에 노출된 부위가 빨개지는 것은 체온 조절과 혈액순환을 유지하려는 정상적인 생리적 반응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증상이 지나치게 심하거나 불편하다면 병원을 방문하여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안전합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본 답변은 진료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추위로 인한 혈관 반응 때문입니다. 추운 환경에서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피부 혈관이 먼저 수축해 열 손실을 줄이는데, 계속 추위에 노출되면 조직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혈관이 다시 확장됩니다. 이 과정에서 혈류가 증가해 피부가 빨개지는 것입니다.
손이나 코 등의 피부는 얇아서 혈관 색이 더 뚜렷하게 보입니다. 노출 부위는 외부 온도 변화의 영향을 직접 받아서 이런 반응이 더 잘 나타납니다. 장갑이나 마스크로 노출 부위를 보호하시고 보습제를 발라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하세요.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날씨가 추워지면 노출된 피부에 혈액이 몰려 모세혈관이 확장되어 빨갛게 됩니다 이는 동상의 위험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려는 기전입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