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우람한당나귀214
우람한당나귀21423.03.06

조선시대 이전이나 조선시대에도 재판이 존재했나요?

조선시대 이전이나 조선시대에도 재판이 존재 했나요? 존재 했다면 재판장은 어떤사람이 맡아 했을까요? 그리고 법도 존재 했겠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기오르기78입니다.

    선시대 이전에는 고구려, 백제, 신라, 고려 등의 국가에서도 재판제도가 존재했습니다. 예를 들어, 고구려의 경우 대원군(大院君)이 재판관을 책임지는 재판제도를 갖추고 있었으며, 백제의 경우 판사(判事)와 담당관(擔當官) 등으로 이루어진 재판관 체제를 갖췄습니다.

    조선시대에는 중앙 법원인 대사원(大司院)과 지방 법원인 도(都)와 현(縣)의 법원이 있었습니다. 대사원은 국왕이 임명하는 대법관과 향배(鄕牧)에서 추천된 법관들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중대한 법률 문제를 처리하는 중앙 법원이었습니다. 지방 법원인 도와 현의 법원은 지방 관료나 유교 교육을 받은 법관들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이들 법원은 지역적인 소송과 사건을 처리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또한 조선시대에는 특정 사건에 대한 특별한 법원도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고종 24년(1887년)에 설치된 순사청(遵使廳)은 중국과의 교역 문제를 담당하는 법원으로, 일종의 대외무역 수사기관 역할을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고매한크낙새25입니다.

    조선시대 이전에도 한국에는 재판제도가 있었습니다. 고조선 시대부터는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형벌을 내리는 제도가 있었으며, 신라 시대에는 법문대를 두어 법률을 제정하고 재판을 진행했습니다. 고려시대에는 선비들이 재판관으로 일하였고, 조선시대에는 재판소와 사찰 등에서 재판을 진행하였습니다. 또한 조선시대에는 도원결의로 유명한 문신들이 법률을 개정하고 재판제도를 개선하는 노력을 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