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철저한치타194
철저한치타19423.03.30

피터 싱어의 동물해방론은 어떤 의미가 있나요?

피터 싱어는 동물해방론자로 알려졌습니다.

그가 주장한 동물해방론이란 무엇인가요?

그의 주장은 현대 사회에서 어떤 의미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동물해방론은 동물의 도덕적 지위를 인정하고 동물을 고통으로부터 해방시켜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현대사회에서는 동물원 폐쇄, 동물의 복지, 채식주의자들과 관련하여 일맥상통하는 의미로 주장되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윤리학자 피터 싱어(Peter Singer, 1946~)는 1975년 그의 저서 《동물 해방(Animal Liberation)》을 통해 동물 해방론을 제시하였습니다.

    동물 해방론은 동물의 도덕적 지위를 인정하고 동물을 고통으로부터 해방시켜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싱어는 도덕적 고려의 기준을 쾌고감수능력(快苦感受能力, 쾌락과 고통을 느낄 수 있는 능력)의 소유 여부로 보았는데, 동물도 인간과 마찬가지로 쾌락을 좋아하고 고통을 싫어하는 존재라는 점에서 동물에게도 도덕적 지위를 인정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동물 해방론은 영국의 철학자 제러미벤담(Jeremy Bentham, 1748~1832)의 공리주의를 철학적 근거로 삼았습니다.

    공리주의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추구함으로써 개인의 쾌락과 사회 전체의 행복을 조화시키려는 사상으로, 벤담은 모든 사람은 쾌락과 고통에 관한 이익에 대하여 동등하게 고려되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싱어는 이러한 이익 평등 고려의 원칙(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을 동물에게도 적용하여 고통과 감정을 느끼는 동물도 사람과 마찬가지로 동등한 이익이 고려되어야 함을 이야기하였습니다.

    싱어는 또한 인간이 동물을 부당하게 대하는 것은 마치 인종이나 성별을 근거로 비윤리적으로 차별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고 주장하며, 이는 동물이 사람과 같은 종(種)이 아니라는 이유만으로 차별하는 종차별주의(種差別主義, speciesism)에 해당한다고 비판하였습니다. 그는 종차별주의의 대표적인 사례로 동물실험과 육류산업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동물을 고통으로부터 해방시킬 것을 역설하였습니다.

    이러한 동물 해방론은 인간의 이익을 위해 동물이 수단으로 취급되는 비도덕적 관행을 비판하고 동물에 대한 잔혹 행위를 금지하도록 촉구하는 범세계적인 운동을 촉발하였습니다.

    충분히 의미가 있는 이론이고 인간의 이기 때문에 동물이 고통 받지 않게 하여야 합니다. 인간의 발전을 위해 어쩔 수 없이 필요하다면

    살아 있는 동안 환경이라도 쾌적하게 해주고 불가피한 상황이라면 최소한의 고통만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 싱어는 성차별, 인종차별을 넘어서 마지막으로 남아 있는 유형의 차별이라고 부르는 종(種)간의 차별에 주목하였습니다.

    인류가 동물이기를 거부하며 얻어낸 성공은 자연에게서 착취한 몫일뿐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싱어는 인간 문명에 만연한 동물과 환경에 대한 가혹한 착취구조에 경종을 울렸습니다.

    그는 인간이 인간 아닌 동물을 이용하는데 있어 무차별한 처우방식을 문제 삼았습니다. 특히 생활 속에 습관화된 과도한 육식문화는 동물을 점점 더 가혹한 환경 속으로 내몰았고 그 부작용은 소비자인 우리에게 되돌아오고 있음을 경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