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

하품을 하게되면 주변으로 전염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사람이 하품을 하게되면 옆의사람들이 보고 있으며 같이 전염되는 효과가 있는데요

그렇다면 하품의 전염성이 있는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하품이 전염되는 현상은 단순한 생리반응일까 아니면 심리적 요인일까?에 대해서 결론부터 말하자면 하품 전염은 ‘공감능력’과 관련 있다는 것이 현재 가장 유력한 설명입니다. 하품의 전염성은 개나 침팬지 같은 일부 동물에서도 나타나는데요, 이 역시 타인에 대한 감정이입과 의사소통 능력 때문이라는 추정은 있지만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하품 전염 현상은 오래전부터 과학계의 흥미로운 주제로 다뤄졌는데요 이탈리아 피사대학의 연구팀은 다양한 국적의 남녀 109명을 관찰한 결과, 친족들이 함께 있는 자리에서는 한 사람이 하품을 하면 3분의 2가 1분 이내에 따라 하품했다고 합니다. 반면 하품을 하는 상대가 낯선 사람이거나 얼굴만 겨우 아는 관계일 경우 하품을 따라하는 데 2분 이상의 시간이 걸렸습니다. 특히 자폐스펙트럼장애 환자들이 하품 전염에 덜 민감하다는 연구결과는 하품 전염이 공감능력과 연관돼 있다는 학설에 힘을 실었으며, 단 이를 완전히 설명하기에는 아직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결국 ‘하품이 전염되는 이유는 공감 때문’이라는 주장은 현재까지 가장 설득력 있는 설명이지만 과학적으로 명확히 규명된 사실은 아닙니다.

  • 하품의 전염성은 공감 능력 및 사회적 유대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다른 사람의 하품을 보거나 듣는 것이 뇌의 특정 영역을 자극하여 동일한 행동을 유발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이는 일종의 사회적 모방 행동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사실 아직까지 정확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그렇지만 유력한 가설들이 있긴 하죠.

    대표적으로  공감 능력 및 사회적 유대감입니다.

    하품을 따라 하는 것은 타인의 감정을 공유하고 공감하려는 인간의 자연스러운 반응이라는 설로 이는 사회적 동물로서 집단의 일원임을 확인하고 유대감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행동이라는 것이죠.

    실제로 연구에 따르면 공감 능력이 높은 사람일수록 하품이 더 잘 전염되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거울 신경 세포 시스템에 의한 것이라는 주장입니다.

    뇌에는 '거울 신경 세포'라는 특정 신경 세포 집단이 있는데, 이는 자신이 어떤 행동을 할 때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이 그 행동을 하는 것을 보기만 해도 활성화됩니다. 즉, 다른 사람이 하품하는 것을 보면 자신의 거울 신경 세포가 활성화되어 무의식적으로 하품을 따라 하게 된다는 이론입니다.

    이 외에도 여러 가설들이 존재하지만, 아직 명확하게 어떤 이유 하나만으로 설명하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여러 가설들을 포함하여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쳐 하품이 전염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