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활발한메추라기알192
활발한메추라기알19223.07.23

영국군의 거문도점령사건이 무엇인가요?

조선 말기 주변의 강대국들에 의해 일본과 청나라 등 많은 나라들이 조선을 많이 괴롭힌 시기였습니다. 그 중에 영국군의 거문도 점령사건이 있었는데 왜 영군군은 거문도를 점령을 하였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7.23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거문도사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거문도사건은 1885년(고종 22) 3월 1일부터 1887년 2월 5일까지 영국이 러시아의 조선 진출을 견제하기 위해 거문도를 불법 점령한 사건을 말합니다. 영국은 러시아의 조선점령에 대한 예방조처라는 명분으로 거문도를 점령하여 요새화했습니다. 국제적인 긴장이 고조되면서 이 사태를 처리하기 위한 열강간의 외교 교섭이 긴박하게 이루어졌고 영국의 철수로 문제가 일단락되었다고 합니다. 점령에서 철수에 이르는 과정에서 영토의 소유자인 조선은 철저하게 배제되었고 오로지 열강간의 이해관계에 따라 외교교섭이 진행되었습니다.

    조선의 허약한 국제적 지위가 단적으로 드러난 사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당시 세계적인 규모로 러시아의 남하세력에 대항해온 영국은 극동에서도 러시아의 남진책에 예민한 반응을 나타냈고 러시아는 일찍이 1860년 한반도 동해에 임해 있는 블라디보스토크를 강점했는데 이 항구는 겨울에 얼어 해만으로서 활용가치가 적었으므로 부동항을 물색합니다. 그 대상자는 영흥만, 제주도, 쓰시마섬 등이었고 이 중 함남 영흥만이 가장 유력한 점령 대상지였습니다.

    한편 영국은 1882년 한영수호의 교섭이 시작되던 무렵부터 이미 거문도의 조차를 제의함으로 거문도에 대한 관심을 표시, 1884년 갑신정변이 실패로 끝난 후 한국의 조정이 급속히 제정 러시아에 접근해 한, 러 밀약을 체결한다는 소문이 있었고 국외에서는 아프가니스탄을 둘러싼 영국과 러시아의 사태가 급박해집니다.

    이 상황에서 영국은 러시아의 선점을 예방하고 러시아를 견제한다는 명분을 내세워 영국 선반 1척이 러시아가 점령 대상지로 삼았다는 영흥만 일대를 탐사 후 4월 15일 군함 6척, 상선 2척으로 거문도를 점령, 그 달 하순경 영국기를 게양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후기에 통상교섭이라는 명목으로 미국이 일으킨 제너럴 셔먼호 사건이나 일본의 운요호 사건들은 마치 식민지를 확보하기 위해 맺어진 강제조약이었으나 영국군은 거문도에 입도하여 백성들을 안정시키고 관리들의 폭정으로부터 보호해주었으나 결국에는 거문도를 조차하여 러시아의 남하를 지지할 목적으로 거문도를 점령한 것입니다. 크리미아전쟁이후 러시아는 아시아로 눈을 돌렸고 각지에서 러시아와 대립하던 영국은 러시아의 남하를 저지하기 위해 부랴부랴 거문도를 점령했던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영국이 러시아 제국의 남하를 저지할 목적으로 거문도 점령을 한 것입니다. 러시아의 남하 정책은 연해주를 군사적 근거지로 하여 한반도로 진출하는 것을 의미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