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순수한낙타174
순수한낙타17423.06.21

우리나라가 베트남 전에 참전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요?

베트남전 당시 우리나라도 전쟁의 상처가 치유되지 않은 상태였던 것 같은데

또다시 전쟁에 참여하게 된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6.21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가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이유는 우리나라군대의 현대화 때문이었다고합니다.

    그 당시 우리나라의 군대는 상당히 낙후되어 있는 상황이었기에 돈과 무기를 받는 조건으로 파병을 한 것이라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미국의 압박이라기보단 먹고 살기 위해서 간겁니다.또 성과도 좋았고요.
    보통 주변국에서 전쟁이 나면 그근처 나라들은 한몫챙깁니다.
    어쩔수없는 국제사회논리죠.
    그당시 우리가 베트남에 파병보내고 미국으로부터 많은 무기지원도 받고
    경제적으로도 많은 돈을 벌어들였죠.
    10만명이나 간것은 그만큼 베트남전쟁이 어려웠다는 뜻이고요.
    그리고 그만큼이나 보낸것은 보낼수없을만큼 절박했다는 것이죠.

    아마 지금이라면 남의 전쟁에 10만명은 절대안보내겠죠.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자유 우방의 지원으로 한국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으며, 1964년 당시 미 지상군에게 안보의 한 축을 의탁하고 있던 한국의 입장에서는 베트남의 사태를 남의 일처럼 바라볼 수만은 없는 입장이었다. 따라서 당시의 박정희 정부는 존슨 대통령의 파병 요청 이전부터 베트남의 사태를 예의 주시하고 있었다. 때마침 미국의 요청과 함께 남베트남 정부에서도 파병을 요청해 오자, 한국 정부는 “한국 전쟁시 참전한 우방국에 보답한다.”는 명분과 “베트남 전선은 한국 전선과 직결되어 있다.”는 국가 안보의 차원에서 국회의 동의를 얻어 파병을 결정하였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안녕하세요. 박순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자유 우방의 지원으로 한국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으며, 1964년 당시 미 지상군에게 안보의 한 축을 의탁하고 있던 한국의 입장에서는 베트남의 사태를 남의 일처럼 바라볼 수만은 없는 입장이었다. 따라서 당시의 박정희 정부는 존슨 대통령의 파병 요청 이전부터 베트남의 사태를 예의 주시하고 있었다. 때마침 미국의 요청과 함께 남베트남 정부에서도 파병을 요청해 오자, 한국 정부는 “한국 전쟁시 참전한 우방국에 보답한다.”는 명분과 “베트남 전선은 한국 전선과 직결되어 있다.”는 국가 안보의 차원에서 국회의 동의를 얻어 파병을 결정하였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미국의 요청이 먼저가 아니라 당시 박정희 정부는 미국 측에 먼저 대한민국이 미국을 위해서 대신 병력을 보내주겠다고 제안을 하게 된다고 합니다. 미국이 이를 승낙하면서 1964년 9월 의무대와 태권도 교관단이 파견된 것을 시작으로 1967년 8월까지 4차례에 걸쳐 국군이 베트남에 파견되었다고 합니다. 한국도 육군 수도사단(맹호부대), 해병 2여단(청룡부대)의 전투 병력을 보내고, 뒤이어 육군 9사단 ( 백마부대)을 파견한다고 합니다. 가장 큰 이유는 아마도 당시 너무나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 달러 획득과 같은 경제적인 문제가 가장 크지 않았나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