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13

삼국시대 때 무역상인들은 어떻게 일을 했나요?

요즘은 자동차,오토바이,배,비행기등 여러가지 운송 수단들이 있고 기술도 발달되어 무역이 활성화됐는데, 삼국시대 때는 어떻게 무역을 했었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박재민 관세사blue-check
    박재민 관세사23.02.13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현재와 같은 기술력은 전혀 갖추어지지 않았지만 삼국 시대에는 중국을 통한 육로를 기본으로 해상 무역으로 중국 및 일본과의 문물 교류와 교역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습니다.

    특히 4세기경부터 고구려·백제·신라는 제각기 중앙집권적인 고대국가를 형성하고 중국 및 일본 등을 상대로 하여 국신물 교환형태의 공무역을 본격적으로 전개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무역 상대국은 고구려의 경우 남북조와 북방민족, 백제는 남중국과 왜였습니다. 신라에서는 고구려와 백제를 경유한 간접 무역이 주를 이루었고, 한강 유역을 차지한 이후로는 당항성을 통하여 당나라와 직접 무역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9세기 이후로는 장보고가 해적선을 소탕하여 산둥반도를 중심으로한 교역망을 구축하였으며 해상 무역을 본격적으로 추진하였습니다.

    답변 내용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박재민 관세사 드림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삼국시대의 경우 당나라, 왜와 주로 무역이 이뤄졌으며, 그중에서 당나라와의 무역이 대부분의 무역이었습니다. 당나라와는 조공의 형식을 통하여서 하는 공무역과 상인들에 의하여 행하여지는 사무역이 있었습니다. 당나라에 수출하는 물건은 금, 은, 인삼, 우황, 모시, 해표 가죽 등이었고, 수입하는 물건은 비단, 의복, 서적 등이었습니다. 다만, 이때의 무역은 화폐경제가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주로 물물교환으로 이뤄진 점이 특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아울러, 3국은 모두 각각의 무역경로를 지니고 있었으며 통일신라때에 이르러서는 청해진을 설치하여 동아시아의 무역 전체를 통제하기도 하였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경우 추천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자료에 따르면 다음의 내용이 존재합니다.


    상업은 나라마다 서울에 시장이 열리어 교역이 행하여졌다. 신라에서는 경주에 동시가 열리어 거래를 행하였는데, 지방에서는 교통이 편리한 곳을 택하여 대체로 물물 교환의 형식으로 거래하였다.

    대외 무역은 예물 교환의 형식으로 행하여지는 공무역과, 개인에 의하여 행하여지는 사무역이 있었다.


    아무래도 당시의 무역은 사람이 직접 또는 말이나 선박과 같은 운송수단등을 통해 교역이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