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구체적목표,바로성취,결과피드백
구체적목표,바로성취,결과피드백

자녀가 평상시와 다른 언행이 시작하게 되면 사춘기일 확률이 높은데 이런 경우 부모는 어떻게 반응하고 대처를 해야 하나요?

자녀가 있는 집에서는 항상 거쳐가야 하는 시간이 자녀의 사춘기 시간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춘기의 유형에도 반항하는 유형도 있고 묵묵부답인 유형도 있고, 밖으로만 도는 자녀도 있는데, 이러한 느낌이 느껴지고 그 모습이 비춰지기 시작한다면 사춘기자녀를 가진 부모로써 초창기부터 어떻게 행동을 하고 양육을 해야 힘든시기가 아닌 가족모두에게 더욱 더 도움이 되는 시간으로 만들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 시기 아이의 마음을 충분히 공감해주고 가족이 대화를 나누는 시간을 자주 갖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이 때 일방적인 아이의 문제뿐 아니라 다양한 가족의 이야기를 화두로 올리면 더욱 더 참여도를 높일 수 있겠습니다.

    사춘기가 온 아이는 제2차 성징을 경험하게 되면서 점차 성인의 몸으로 변해 갑니다.

    생리적으로는 성적 충동이 커지고 심리적으로는 성인처럼 행동해야 된다는 새로운 압박감이 생깁니다.

    더구나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까지 겹치게 됩니다.

    따라서 이 시기를 지나는 아이를

    겨울잠을 자러 들어간 곰이라고 생각하고 새봄에 동굴로 나올때까지 기다려주면 어떨까 싶습니다.

    컨디션이 괜찮을 때는 '힘들지? 잘하고 있으니까 너무 걱정하지마' 등의 응원을 보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뭔가를 해주려고 하면 할수록 아이는 간섭한다고 생각하여 서로간의 갈등과 감정의 골이 깊어질 수도 있으니 말입니다.

    이 시기를 지나는 아이를 이해하고 공감해준다면 아이도 마음을 열고 대화를 하려 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사춘기 시기에 접어들면

    예민하고 민감함이 폭발하여 자신의 감정을 주체하기 힘들어 할 것입니다.

    또한 갑작스런 변화가 본인에게는 낯설어 겁을 먹기도 하면서 어떻게 대처하고 대응을 해야 할지 모르기 때문에

    언어와 행동이 본인의 마음과 다르게 툭 튀어나오기도 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의 기분 및 컨디션을 잘 살펴주고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잘 돌봐주는 것이 필요로

    하겠습니다.

    아이의 감정을 충분히 공감 하면서 대화적인 소통의 시간을 자주 갖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자녀의 사춘기는 자녀 나름대로도 혼란이나 성장통을 겪으면서 어려움이 있겠으나, 그걸 바라보고 그러한 갈등이나 상황을 직면해야 하는 보호자에게도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아이를 이해하고 존중해주되, 아이의 편이라는 말을 해주세요. 아이의 비행이나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는 단호히 지도하되, 이것이 싫어하는 게 아니라 행동에 대한 지도임을 명확히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무엇보다도 평소에 여행이나 캠핑, 외식, 영화 관람 등의 시간을 가지면서 서로 교류해 나가는 시간을 늘려 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과정에서의 대화와 두터운 신뢰로 서로를 향한 유대감을 형성해 나가 주시기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감정을 인정해 주고, 조언보단 함꼐 고민하는 자세가 중요합니다. 일관된 태도로 신뢰를 유지하며, 자율성과 책임을 함꼐 키울수 있도록 도와야 가족 모두에게 긍정적인 시간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사춘기 자녀는 감정 기복과 자아 형성으로 인해 다양한 변화를 겪습니다. 부모는 이를 문제로 보기보다는 성장과정으로 이해하고 비난보다는 경청과 공감을 우선시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