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찬란한사마귀48
찬란한사마귀48
22.04.08

10개월 아기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자기전에 이유식 먹이고 저녁 8시쯤 재울때 분유 160먹이고 재우는데 새벽3시쯤 배고파서 깨면 분유 먹이고 아침까지 자야하는데 처음에는 잘 자다가 자주 깨는데 지금 시기가 자주 깨는 시기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의연한멧돼지241
    의연한멧돼지241
    22.11.01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마다 그러한 시기가 다르기때문에

    딱 자주깨는 시기다 라고 말씀드리기는 어렵습니다

    우선 분유를 먹이는 패턴을 조금 바꿔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2.07.13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가가 깼을 경우 즉각적으로 반응을 보이지는 마세요. 물론 시간이 지나도 계속 울어대면 달래는 주어야겠지만 특별히 울지도 않고 힘들어 하지 않는다면 관심을 두지마세요.

    대개의 아가들은 깨어도 주위에서 다 잠들고 있으면 그냥 놀다가 자게 됩니다. 처음에는 모르고 깨다가도 이렇게 먼저 깨도 엄마가 놀아주지 않는다고 생각하게 되고 그런 식으로 익숙해질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시기의 아이는 잠드는 것이 어려우며 잠들었다 하더라도 자주 깨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는 상대적으로 얕은 잠을 자기 때문에 악몽을 꾸거나 바깥의 자극에 예민하게 반응하여 잠이 든 후 1~2시간 사이에 울거나 뒤척이는 일이 잦습니다. 문제는 깬 다음에 스스로 잠이 들지 못하고 누가 옆에 있거나 도와주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잠들기전에 다음 것들을 해주세요

    1. 잠자리 온도를 시원하게 해주세요

    2. 많은 스킨십을 해주세요

    3. 손발을 자주 주물러주세요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배가 고파서 깨는 것이라면, 낮 동안에 분유랑을 많이 늘리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충분히 잘 수 있도록 밤 안을 어둡게 하고, 온도.습도를 잘 체크하고, 자기 전에 목욕도 시키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10개월쯤 시기에는 위와같은 부분이 잘나타나곤 합니다

    특별히 문제가 될것은 없는듯합니다.

    아이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수 있긴하나 현재 글만으로 파악하기에는 걱정할 문제는 아닌듯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대부분 생후 3개월이 지나야 통잠을 자기 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가 잠을 자다 자주 깨면, 평소 아이가 스트레스가 없는지도 체크해 보셔야 할 것 같아요

    낮에 몸을 너무 안 움직이는 것보단 적당한 신체 활동은 밤에 숙면을 취하는데 도움이 되니 낮에 많이 움직이도록 해주세요

    아이의 통잠을 재울려면 조금 더 아이가 크면 올바른 수면 습관을 들이도록 규칙적인 수면 시간을 정하는 게 중요합니다.

    매일 같은 시간에 같은 순서로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매일 같은 시간에 목욕을 합니다

    목욕이 끝난 후 아기 마사지를 동일한 순서로 하는 거지요

    잠자는 신호로 똑같은 자장가를 불러 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잠자는 활동을 마치면 끝났다는 신호를 매일 똑같이 아기에게 준 후 불을 끄고 재워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 의사입니다.

    아기들이 크면서 어떤 단계마다 잠자는 습관이나 주기가 갑자기 바뀔때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흔히 급성장기가 나타난 시기라고 설명하기도 하는데

    주로 <생치>를 하거나 구체적인 형태의 <꿈>을 길게 꾸면서 보이는 반응으로 여겨집니다.

    중요한 것은 이 시기가 내버려두면 그다지 길지 않게 끝난다는 것입니다.

    오히려 깰때마다 뭔가를 해주려 하시면

    아이의 수면이 오히려 장기적으로 나빠질 수 있습니다.

    배가 고프지 않은 상태임에도 징징대로 보채면서 깨어날 때는

    훌쩍대면서도 스스로 잠이 들도록 그냥 기다려 보시기를 권합니다.

    다만 이 시기가 너무 길어지면

    원인이 빈혈인 경우도 있기때문에 소아청소년과로 내원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첫번째 배가 고픈 경우

    두번째 이가 나는 시기 이 앓이하는 경우

    셋째 기저귀 발진등으로 인한 통증

    넷째 지나친 관심과 자극(흔히 손이탔다고 하죠?)

    다섯째 감기등의 질병이 들었을 경우

    등등 여러가지 가능성이 있습니다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아이가 잠이 오는데도 자지 않는다면 잘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