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ENOON
ENOON
25.02.24

미국의 관셰정책으로 우리나라의 피해가 우려되는 산업 분야무 무엇이 있나요?

미국의 전세계적을 대상으로 하는 관세전쟁은 결국은 우리나라에도 예외는 없어 보이는데 미국의 관세정책이 현실화된다면 우리나라에서 특히 피해를 볼 수 있는 산업 분야는 무엇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미국에서 상호관세 등을 4월 2일에 도입하겠다고 하였습니다.

    상호관세나 비관세 장벽으로 인하여 우리나라의 자동차가 우선적으로 피해를 받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피해 규모는 수조원대에 손실에 직면할 수 있다고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미국은 미국에서 공장을 건설하여 미국에서 생산하면 관세를 부과하기 않겠다고 하였습니다. 우리나라의 미국으로 수출된 차량은 154만대였습니다. 당장에 미국에서 공장을 증설하여 미국에서만 생산할 수 없는 것입니다.

    또한 반도체, 의약품, 철강, 알루미늄 등에 수출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관세 정책이 강화될 경우 자동차, 철강, 반도체 등 대미 수출 비중이 높은 산업이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자동차 산업은 높은 관세 부과 시 가격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으며, 철강 업계는 수출 물량이 줄어들어 수익성 악화를 겪을 수 있습니다. 반도체는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어 관세 부담이 커질 경우 생산 비용 증가와 시장 점유율 감소가 우려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우선 반도체 산업이 큰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한국은 반도체 수출에서 세계적인 강자이고, 미국은 중요한 시장 중 하나입니다. 만약 미국이 반도체에 높은 관세를 부과한다면, 지금까지 무관세를 이용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 같은 기업의 수익성이 흔들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반도체 공급망을 재편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한국 기업들이 추가적인 압박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다음으로 자동차 산업도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현대차와 기아는 미국에서 상당한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는데, 미국이 외국산 자동차에 관세를 매기면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트럼프 시절 이미 외국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 부과가 논의된 적이 있으니, 이건 현실적인 위협으로 봐야 합니다. 게다가 미국 내 생산 비중이 높아도 부품 수입에 의존하는 부분이 많아 공급망 비용이 올라갈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리고 2산업은 모두 우리나라에서 수출량이 가장 많은 산업으로, 타격을 입는 경우 대한민국 자체의 타격도 우려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