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외로운침팬지184
외로운침팬지18423.10.15

국제유가가 전쟁등으로 급등하면 보통 우리나라경제에는 어떤영향이 있을까요?

평소궁금했던 내용인데요. 국제유가가 전쟁등으로 급등하게되면 보통 우리나라에 어떤 영향을주는지가 궁금합니다. 전문가님 답변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스라엘 전쟁으로 인해서 국제 유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되는 경우에는 원유 가격 상승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상승이 발생하게 되요. 이러헥 인플레이션이 상승하게 되면 미국은 추가 금리인상을 하게 될 가능성이 높고 달러환율의 상승과 함께 우리나라는 금리인상의 압박, 그리고 인플레이션의 상승, 달러환율의 상승으로 인해서 경제적인 부담을 크게 느끼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제유가의 경우 우리나라의 수입물가에 영향을 미치 국내 물가상승률 억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또한, 무역수지 적자를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민교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유가가 상승하면 재화 및 서비스 전반의 물가 상승 및 인플레이션이 심화됩니다. 이에 따라 유동성 축소를 위해 금리를 인상하게 되고, 경제 활동 위축 및 투자 감소가 나타나게 됩니다

    기업 파산 및 가계 소비 감소라는 악순환이 반복되며 한국 경제 침체가 시작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제 유가가 급등하게 되면, 우리나라는 석유를 수입해서 쓰는 나라여서 물가 상승의 압박을 받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올려야 하나, 여러 경제지표가 튼튼하지 못하기 때문에 쉽게 올릴 수 없습니다.

    이에 따라, 인플레이션이 고착화되며, 경제 성장이 둔화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제유가 등이 급등하면

    원유의 대부분을 수입하는 우리나라는 상당히

    물가가 높아질 가능성이 높은 등 우리나라의

    인플레이션율을 상당히 높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전쟁으로 인한 유가상승은 원재료 가격 상승 등으로 인플레이션을 촉진하게 됩니다.

    이러한 인플레이션은 가계의 실질소득 및 구매력을 감소시키며, 감소된 구매력으로 인하여 시장에는 유동성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러한 패턴의 악순환은 경기를 침체기에 들어서게 합니다. 물가상승률을 저지하기 위해 금리인상을 단행하게 됩니다.

    금리인상으로 인하여 물가상승률은 잡을 수 있겠지만, 가계 및 기업의 부채부담률이 일시적으로 증가하면서 이중고를 겪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