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894년 청일전쟁을 일으키며 경복궁을 점령한 일본은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을 폐기하고 조선정부에 친일 내각을 구성, 전쟁에서 북양군을 와해시킨 후 시모노세키 조약을 체결해 조선의 자주, 독립 및 요동 반도와 타이완 섬 할양, 전쟁배상금을 받아냅니다. 그러자 러시아는 독일, 프랑스를 끌어들여 일본에게 요동 반도를 청나라에 반환할 것을 요구, 3개 열강의 압박으로 일본은 요동반도를 반환하게 됩니다.
그 동안 러시아와 우호적인 외교를 한 고종과 명성황후는 러시아를 통해 일본을 견제할수있을 것으로 보고 러시아 공사 카를 베베르를 자주 불러 조-러 간의 공조를 논의, 인아거일 노선을 적극 추진합니다.
이에 따라 친일 내각에 대한 축출을 단행, 일본 공사관 및 일본인 고문단의 지지를 받던 어윤중, 김윤식 등 친일 성향의 관료들이 고종과의 마찰, 박영효가 주도한 조의연 파면 등에 책임을 물어 축출되었고 이완용을 중심으로 한 친러 성향의 관료들이 중용됩니다.
그러자 친일 대신이었던 박영효는 명성황후가 자신의 숙청을 계획하고 있다는 정보를 얻은 뒤 명성황후의 암살을 모의, 이후 을미사변에 가담하는 유길준의 내부고발로 인해 실패하자 일본으로 도주, 박영효가 명성황후 암살 미수 사건 혐의로 수배되며 상당수 친일관료들이 중앙에서 쫓겨나게 되어 일본의 입지가 좁아지기 시작합니다.
망명한 박영효의 말에 따라 일본은 조 -러 간의 비밀협약 의혹을 신빙성있게 여기게 되고 이게 따라 일본의 향후 외교방침 전환을 위해 이토 내각과 정계, 육해군부 내에서 갑론을박이 오갔는데 이때 유신지사이자 당시 조선공사 이노우에 가오루의 오랜 정적이었던 다니 다테키의 추천을 받아 새로 조선공사로 부임한 퇴역 육군 중장 미우라 고로가 조-일 외교의 전면에 등장하고 배후로 추정되는 일본 당국 관계자들은 미우라로 하여금 명성황후를 시해함으로써 국면을 전환하고자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