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 현지 3PL과 연계한 물류서비스는 어떤 장점이 있나요?
아세안 지역에 진출한 기업들이 현지 로컬 3PL과 제휴를 맺으면 어떤 효과가 있을까요? 비용적인 측면과 통관적인 측면에서 간단히 설명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아세안에서 로컬 3pl과 제휴하면 물류비 절감이 기대됩니다. 현지 지형이나 관습에 익숙한 업체가 많아 운송 효율이 높고, 자체 창고나 배송망을 갖춘 경우엔 물류단계가 간소화됩니다. 또 통관 측면에서도 그 지역 규정에 밝은 업체가 대부분이라 통관 서류 오류나 지연 가능성을 줄일 수 있고, 비관세장벽 대응도 한층 수월해집니다. 전체적으로는 초기 진입 리스크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3PL 물류를 활용하는 경우 기업 입장에서 비용효율, 통관절차 간소화가 가능합니다. 즉, 인프라에 대한 투자 없이 수요변화에 따라 물량조절이 가능하고, 물류비 감소가 가능합니다. 아울러, 아세안의 경우에는 통관과 관련하여 실무적인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도 종종 있는데 이에 대한 부분을 모두 3PL 물류 업체에 위탁하기에 리스크가 감소하게 되고, 보세창고가 있다면 이에 보관하고 필요분만 통관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아세안 지역에서는 각국의 통관 체계나 규정이 생각보다 제각각이라, 외국 기업 입장에서는 처음부터 끝까지 혼자 감당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럴 때 현지 3pl과 연계하면 물류 흐름 자체가 단순해지고, 통관도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으로 꼽힙니다.
통상적으로 로컬 3pl은 해당 국가의 세관 대응이나 수입신고, 창고 운영에 익숙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서류 요청이나 절차 지연을 사전에 걸러낼 수 있고, 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추가 비용도 줄어들 수 있습니다. 운송 단가도 내부 계약망이나 지입 차량을 활용해 자체 조정이 가능해지는 경우가 있어, 전체 물류비에서 꽤 유의미한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아세안에서 현지 3PL이랑 손잡으면 일단 물류비 절감 효과가 큽니다. 로컬업체가 현지 운송 네트워크나 창고 인프라를 잘 알고 있어서 불필요한 비용 줄이기 좋습니다. 통관 측면에서도 장점인데요, 현지 3PL이 그 나라 통관 프로세스에 익숙하니까 서류 준비나 신고 과정에서 빠르게 대응 가능하고 통관 지연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아세안 진출 기업들 입장에선 효율적으로 물류 운영하면서 리스크도 관리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현지 로컬 3PL은 이미 지역 내 물류망과 창고 인프라, 인건비 구조를 잘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업이 독자적으로 물류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보다 운송비, 창고비, 인건비를 절감할 수있을 것입니다. 통관 측면에서도 로컬 3PL은 현지 세관 제도, 규정, 문서 요건에 대항 대응이 좀 더 빠르게 대응이 가능할것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아세안 시장에 대한 물류기반이 없는 경우 3PL 서비스 등을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비용이나 통관 등의 측며에서 강점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일단 3PL을 활용해 물류 인프라 투자 없이 저렴한 운송/보관비 대량운송 할인 등 운영비 절감이 가능합니다. 또한 전문적인 현지 통관절차 등에 대응할 수 있어 신속한 통관이나 행정비용 감소 등이 기대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