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대단한친칠라280
대단한친칠라28023.04.09

가렴주구라는 고사성어의 의미는 무엇이고 어디에서 유래하였나요?

가렴주구라는 고사성어는 나쁜 정치와 관련된 의미로 알고 있습니다. 가렴주구라는 고사성어의 정확한의미는 무엇이고 어디에서 유래하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09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가렴주구(苛斂誅求) : 가혹하게 거두어 들이고 목을 베듯이 구한다란 말로 관리들이 세금을 가혹하게 거두어 들이고 목을 벨 것 처럼 백성들을 위협해서 많은 것을 백성들에게 요구한다는 의미로 가혹한 정치적 행태를 은연중에 비유하는 표현입니다.

    가렴주구의 유래는 지방 관리들이 혹독하게 세금을 거두어 들임으로써 백성들이 살아가기 힘든 정치적 상황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비슷한 고사성어로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가 있는데 <구당서>에 의하면 공자가 제자들과 함께 태산 기슭을 지나고 있을 때 울고 있는 여인을 발견했다고합니다. 공자는 제자를 시켜 울고 있는 여인의 사연을 들어본 즉, 시아버지와 남편이 호랑이에게 죽임을 당했고 또 다시 아들까지 호랑이에게 습격을 당해 죽었음을 전해들었지요.

    이에 공자는 여인에게 그럼에도 왜 이곳을 떠나지 않느냐고 물었고 여인은 지금 살고 있는 곳은 세금을 과하게 거두지도 않고 지나친 부역도 강요하지 않기 때문에 굶지는 않고 살기는 편안하다고 대답했다고합니다.

    공자는 이 말을 듣고 혹독한 정치가 호랑이보다 무섭다는 말을 제자들에게 남기며 이곳을 지났다는 일화가 있으며 여기서 유래했다고전해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가렴주구 고사성어

    관리들이 혹독하게 세금을 걷어 백성들이 살아가기 힘든 정치적 상황


  •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가렴주구는 가혹(苛酷)하게 세금(稅金)을 거두거나 백성(百姓)의 재물(財物)을 억지로 빼앗는다는 의미입니다.

    공자(孔子)가 제자(弟子)들을 데리고 태산(泰山) 기슭을 지나가고 있을 때였다. 한 여인(女人)이 세 개의 무덤 앞에서 목 놓아 울고 있었다. 수레 위에서 이 소리를 듣고 있던 공자(孔子)는 제자(弟子) 자로(子路)에게 그 까닭을 물어 보라고 했다. 자로(子路)는 여인(女人)에게 다가가서 정중(鄭重)히 입을 열었다. 「당신(當身)의 울음소리를 들으니 굉장히 슬픈 일을 당하신 것 같은데 무슨 일이신지요?」 여인(女人)은 더욱 흐느껴 울며 이렇게 말했다. 「옛적에 시아버지가 호랑이한테 잡아 먹혔고 나의 남편(男便)도 또 호랑이에게 당했는데, 이제 나의 아들이 또 그것에게 죽었습니다.」 「그런데 어찌하여 이곳을 떠나지 않았습니까?」 하니 「이곳은 세금(稅金)을 혹독(酷毒)하게 징수(徵收)하거나 부역(負役)을 강요(強要)하는 일이 없습니다.」 자로(子路)에게 이 말을 전해 들은 공자(孔子)는 제자(弟子)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제자(弟子)들아 이를 들어라. 가혹(苛酷)한 정치(政治)는 호랑이보다 더 무서운 것이니라.」.

    출처 : 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가렴주구(加廉鉤句)는 고사성어 중 하나로, 다른 문장에 말을 더해주거나 상황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그는 능력 있는 사람이자 가렴주구로서 일에도 능통하다"와 같은 문장에서 가렴주구는 "능력 있는 사람"이라는 말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가렴주구의 유래는 중국 진나라 시기의 문학가인 산증(山涧)이라는 사람이 지은 "난경(難經)"이라는 책에서 유래한다고 합니다. 이 책은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설명한 책으로, 가렴주구는 이 책에서 나오는 문장 구조 중 하나였습니다.


    가렴주구는 현재도 국어 교과서에서 가르치는 고사성어 중 하나로, 말이나 글에서 더욱 구체적인 표현을 할 때 사용되는 유용한 표현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가렴주구는 가혹하게 세금을 거두거나 백성의 재물을 억지로 빼앗음을 의미합니다.

    공자가 제자들을 데리고 태산 기슭을 지나가고 있을 때였다. 한 여인이 세개의 무덤 앞에서 목놓아 울고 있었다. 수레 위에서 이 소리를 듣고 있던 공자는 제자 자로에게 그 까닭을 물어보라고 했다. 자로는 여인에게 다가가서 정중히 입을 열었다.

    '당신의 울음소리를 들으니 굉장히 슬픈 일을 당하신 것 같은데 무슨일이신지요?' 여인은 더욱 흐느껴 울며 이렇게 말했다.

    '옛적에 시아버지가 호랑이한테 잡아 먹혔고 나의 남편도 또한 호랑이에게 당했는데, 이제 나의 아들이 또 그것에 죽었습니다.'

    '그런데 어찌하여 이곳을 떠나지 않았습니까?' 하니 '이곳은 세금을 혹독하게 징수하거나 부역을 강요하는 일이 없습니다.'

    자로에게 이 말을 전해들은 공자는 제자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제자들아 이를 들어라.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더 무서운 것이니라.'

    가혹할 가, 거둘 렴, 벨 주 , 구할 구 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예기(禮記)》에 나오는 일화로, 가렴주구(苛斂誅求)는 가혹하게 세금을 거두거나 백성의 재물을 억지로 빼앗는 것을 뜻합니다.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무섭다'는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도 가렴주구와 뜻이 같습니다.

    가렴주구는 공자의 이야기에서 유래가 됐습니다. 구당서(舊唐書)에 따르면 어느날 공자가 제자들과 태산을 지날 때, 한 여인이 세 개의 무덤 앞에서 목놓아 울고 있었다고 합니다. 왜 우는지 연유를 묻자 여인은 “옛적 시아버지가 호랑이한테 잡아 먹혔고 나의 남편도 호랑이에게 당했는데, 이제는 나의 아들이 또 호랑이한테 당해 죽었습니다”라고 말했다고 합니다.이에 공자가 “그런데 어찌하여 이곳을 떠나지 않습니까?”라고 하자, “이곳은 세금을 혹독하게 징수하거나 부역을 강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라고 답했습니다.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더 무섭다’ 그렇게 해서 생긴 사자성어가 바로 ‘가렴주구’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苛斂誅求(가렴주구) 가혹할 가, 거둘 렴, 벨 주, 구할 구로 가혹하게 세금을 거두거나 백성의 재물을 억지로 빼앗는 것을 말합니다. 관리들이 백성들의 재물을 빼앗거나 괴롭히는 것과 관련 있는 사자성어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정욱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가렴주구(家壞宗亂)는 "가옥이 망하고 가문이 분열되다"라는 뜻의 고사성어로, 나쁜 정치와 관련된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이 고사성어는 고려시대 조정(朝廷)에서 발생한 사건에서 유래합니다. 당시 권력을 쥔 몇몇 대가족들이 자신들의 이익을 추구하면서 권력을 남용하고, 상대파를 박멸하는 등의 불법적인 일들이 일어났습니다. 이러한 일들은 결국 가옥이 망하고 가문이 분열되는 결과를 초래하였습니다.

    이후 가렴주구라는 단어는 나쁜 정치와 관련된 사례를 비유하는 용어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즉, 나쁜 정치로 인해 가문이나 사회가 분열되고 해체되는 상황을 묘사할 때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 가렴주구는 가혹하게 세금을 거두거나 백성의 재물을 억지로 빼앗는다는 뜻입니다.

    가렴주구(苛斂誅求) 가혹할 가, 거둘 렴(염), 벨 주, 구할 구

    가렴주구는 공자의 이야기에서 유래됐습니다. 구당서(舊唐書)에 따르면 공자가 제자들과 태산을 지날 때, 한 여인이 세 개의 무덤 앞에서 울고 있었습니다. 왜 우는지 연유를 묻자 여인은 “옛적 시아버지가 호랑이한테 잡아 먹혔고 나의 남편도 호랑이에게 당했는데, 이제는 나의 아들이 또 호랑이한테 당해 죽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에 공자가 “그런데 왜 이곳을 떠나지 않습니까?”라고 하자, “이곳은 세금을 혹독하게 징수하거나 부역을 강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라고 답했습니다.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더 무섭다’ 라는 말이 그렇게 해서 생겼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관청에서 백성에게 세금을 가혹하게 거두어들이고 무리하게 재물을 빼앗는다는 뜻.

    무리한 세금을 가혹하게 징수로 인한 임금의 혹독한 정치를 뜻함.

    공자가 제자들과 함께 걸을때 어느 여인이 슬피우는데

    이유를 물으니 시아버지, 남편,아들이 연달아ㅜ호랑이에 물려죽었다는.... 그런데 왜 이마을을 떠나지 않느냐는 공자의 질문에 여인왈, 이마을이 세금이 싸서...ㅋㅋ

    그리하여 공자왈 호랑이보다 세금을 가혹하게 내게하는 정치가 더무섭다하여 생긴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