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치과 이미지
치과의료상담
치과 이미지
치과의료상담
반듯한군함조66
반듯한군함조6623.10.04

골다공증 환자의 임플란트 수술의 문제점은 무엇인가요?

지난 3월 16일에 골다공증 진단을 받고 주사제1회

맞고 매일 먹는 약을 3개월치 처방 받았는데 주사제의 부작용이 너무 심해서 3개월후엔 주사제를 취소하고 매달 1회 복용하는 걸로 바꾸어서 3회분을 처방 받아 2회차 복용 하던중 임플란트 해야할 치아가 생겨 알아 보니 골다공증 환자는 임플란트를 하려면 골다공증 약을 중단해야 한다해서 2회차 복용이후로 약 복용을 중단한 상태 입니다. 그러니까 주사제는 3월 16일 단 1회였고 복용하는 약은 1개월에 한번씩 2회 복용 하고 8월부터 중단 했는데 임플란트 가능한 시기는 언제이며 골다공증 환자의 임플란트 수술이 문제점이 많다고 하는데 문제점은 어떤것이 있으며 임플보다 브릿지가 나을까요?

참고로 위의 앞니 4개가 없어 임플2개를 골이식하고 하려고 하는데 골다공증 때문에 잘못되면 어쩌나 걱정이 많습니다. 골다공증 때문에 일반적인 경우보다 오래 걸리고 잘못되는 경우도 있겠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치아를 사랑하고 아끼는 치과의사 최석민입니다.

    약 종류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휴지기를 3개월~6개월 정도는 가져야 안전합니다

    골다공증 약 성분에 의해 임플란트 식립 후 턱뼈 괴사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원래 처방받은 병원에서 소견서(약을 끊고 어느 시기부터 임플란트 수술이 가능하다)를 받으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치과의사입니다.

    임플란트를 식립할 때 잇몸뼈의 골유착 과정에서 실패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심각한 경우 턱뼈까지 괴사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입니다.

    골다골증 환자의 경우 약을 복용하거나 주사를 맞는경우 뼈가 임플란트나 발치를 할때 괴사되는경우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임플란트를 하시려면 약을 중단하거나 주사를 중단하고 시행하셔야됩니다.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골다공증으로 먹는 약 먹고 있다면 약 종류를 정확히 알고 사전에 2개월 정도 약복용 중단하고 임플란트 심는 수술해야 합니다. 8월에 중단하였으니 11월 정도에 심는 수술하면 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약종류 마다 다르니 골다공증약 처방한 곳에 가서 상담해야 합니다. 골다공증이 있으면 임플란트가 잇몸뼈에 잘 엉켜 붙지 않고(골유착) 염증이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