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현관문이 안으로 열리게 디자인 된 이유가 있을까요?
미드 수사물들을 보면 어김없이 등장하는 장면이 발로 문을 차서 안으로 열리는 걸 볼 수 있는데 우리나라는 밖으로 열리는 것이 일반적이잖아요?
이런 현곤문의 디자인의 차이는 어떤 이유로 나타나는 것인가요?
특별한 다른 이유가 있는 것인지 그저 관습적이고 문화적 차이에서만 나오는 것인지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미국 현관문이 안으로 열리는 주된 이유는 눈이 많이 오는 기후 환경에서 문이 눈에 막혀 열리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문틀에 밀착되어 외부 충격에 강하고, 비상 상황 시 실내에서 빠르게 대피하기 용이하다는 장점도 고려됩니다.
반대로 우리나라 현관문이 밖으로 열리는 것은 비교적 좁은 현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입니다. 신발장 등을 배치하기 용이하며, 화재 발생 등 비상 시 사람들이 출구로 몰려도 문이 안으로 밀려 대피를 방해하는 상황을 막기 위한 설계이기도 합니다.
이처럼 기후, 보안, 공간 활용 등 실용적인 이유와 함께 각 나라의 오랜 건축 양식이나 문화적 관습도 현관문 디자인 방향에 영향을 미쳤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현관문의 구조는 한국과 미국이 차이가 있습니다. 한국은 안에서 밖으로 열리는 구조이며 미국은 밖에서 안으로 열리는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이런 현관문 방향의 차이는 안전에 대한 인식때문입니다.
미국의 경우 현관문이 안쪽 열리면 침입자로 부터 문의 컨트롤을 빼앗기기 않고 칩을 지킬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문이 열리는 방향은 눈이 많이 오는 지역의 경우 밖으로 문을 열 수 없어 갇힐 수 있기 때문에 날씨와도 관련이 있으며 이는 나라마다 오래된 관습과 기후적 특징을 반영하고 사생활 보호 및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안정감을 주는 문화적 차이라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우리나라는 은행의 출입문이 미국처럼 안쪽으로 열리는 구조로 치안을 방어하기 위해 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