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따뜻한왜가리246
따뜻한왜가리246

부동산 가격 하락 시기에 전세는 위험성이 있는건가요?

요즘 빌라 사기 같은 뉴스들을 접하게 되는데요. 이러한 빌라 전세 문제들은 부동산 가격이 상승 시기에는 일어나지 않았을 문제인건지 상승 하락과 상관없이 언젠가는 발생할 문제였는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서주환 공인중개사입니다.


      상승 하락을 가리지 않고 나타나지만 하락시기에 좀더 위험성은 있습니다.

      전세보증금 계약은 기본 2년 단위로 한번 정해지면 계약기간에는 고정이지만 물건의 시세는 등락의 변동이 있고 특히 하락시기에 급격히 하락한다면 보증금 보다도 낮아지게 되고 그러면 깡통전세로 임대인이 물건을 팔아도 보증금보다 낮아 모든 보증금을 반환하지 못하는경우가 있기에 더 위험 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다 그런건 아니겠지만 깡통전세나 뉴스에 보도되는 빌라왕 사건등은 아무래도 감소될 확률이 높습니다. 이유는 부동산 가치가 계속 상승하게 된다면 전세금액도 상승하게 되고 이럴 경우 새로운 임차인의 보증금으로 기존 임차인보증금 대체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다만 부동산 가치하락이 불을 붙인건 맞지만 사실상 현 갭투자방식에도 문제는 분명있기에 피해가 커진것도 문제일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

      당연히 가격 하락이 제일 큰 문제입니다.

      주인은 가격이 떨어져도 전세보증금을 돌려주어야 합니다.

      하지만 무리한 갭투자로 보유 하고 있는 주인은 돌려줄 돈이 없습니다.

      그러면 다음세입자를 구해서 돌려주고 하는데 시세가 떨어지면 이전세입자에게 돌려줄 만큼의 전세금을 받기가 어려워집니다.

      그러면 이전세입자의 보증금을 돌려줄 수 없는 구조가 됩니다.

      이러한 가격 구조적 문제는 가격이 올라갈때는 잘 나타나지 않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행정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부동산 가격이 하락되는 경우 전세가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위험성이 증대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초 계약시 전세가격이 예상실거래가격의 80%를 초고하는 경우 위험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하락시기에 전세가 조금 위험한건 사실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어느정도 호가가 내려 앉았고, 내려 앉은 기준으로 전세가가 결정되기 때문에 전세가도 같이 내려오게 됩니다.


      너무 걱정않으셔도 됩니다.


      현재 뉴스에 나오고 있는 전세사기는 처음부터 전세가율이 100% 넘는 사기에 해당하는 수준입니다.

      → 정상적인 전세계약과 다릅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어상 공인중개사입니다.

      당연히 부동산 주택가격의 하락시시기에 깡통전세와 더불어 전세사기가 문제가 되겠습니다.

      물론 주로 빌라 다가구주택 등에 있어서 사기업자들이 몰지각한 감정인과 중개사와짜고 주택가를 부풀려서 사기를 치는 경우에는 상승기나 하락기를 가리지 않았을 것입니다.

      주택값의 상승시기에 주택가를 일부러 부풀려서 전세가를 올려받거나, 무리한 갭투자 등에서 나중에 주택값이 하락하게 되어 전세사기나 깡통전세가 본격화한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