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에게 사대보험을 넣어주지 않는 게 가게 입장에서 이득인가요?
알바에게 사대보험을 넣어주지 않는 게 가게 입장에서 이득인가요?
주휴수당등을 지급해줘야하지만 그것 말고 가게에서 금전적인 이유로 안넣어주려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근로자의 4대보험료의 50%는 사업주가 부담하기 때문에, 사업주 입장에서는 자금부담이 생길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고대철 세무사입니다.
4대보험은 기본적으로 회사와 개인이 반반부담입니다.
그만큼 회사가 부담을 지는 부분이니 당연히 4대보험 안가입하는게 회사는 이득이죠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광교세무법인 삼성지점 이용연 세무사입니다.
개인이 아르바이트 등의 근로용역으 제공하고 그 대가를 회사에서 수령하는 경우에
회사에서 4대보험료를 징수하지 않는 경우 회사 입장에서 이득입니다.
이는 근로자의 급여에 대하여 회사가 4대보험료를 원천징수하지 않는 경우에 회사도
4대보험료를 납부하지 않게 됨에 따라 회사도 그만큼 이익이 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된 경우 "좋아요 + 추천"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동호 세무사입니다.
알바를 3.3% 사업소득으로 신고하는 경우에는 4대보험을 사장님이 따로 부담하지 않기 때문에 사업장 측면에서는 유리한 것이 있습니다. 직접적으로 비용이 적게 들어가는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알바생의 다른 소득을 포함하여 사업소득 측면에서 연간 2400만원 미만으로 한다면 알바생 입장에서도 세금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여지도 있긴 한데, 참 그 비용적인 측면에서 조심스러운 부분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와' 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민우 회계사입니다.
4대보험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해당 보험 부담을 근로자만 부담하는 것이 아니고 고용주가 부담해야하는 부분도 생기기 때문에
관리적인 부분에서도 추가되는 것이 생기기 때문에 단기 알바의 경우 고용주가 4대보험을 적용하지 않은 것이 대부분일 것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배수 세무사입니다.
4대보험 취득하게 되면
ex) 월급 200만원 1인 고용시
4대보험과 부과액이 35만원 정도 됩니다.
이에 4대보험 부담이 증가하여 일용직으로 진행하십니다.
감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자성세무회계 김성은 세무사입니다.
근로자의 4대보험의 50%는 사업주부담입니다.
따라서, 4대보험 가입 시 사업주가 지출해야 하는 금액이 늘어나기 때문에 꺼려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