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밝은여새169
밝은여새16921.03.07

학교에서 과도하게 졸려요+안잘려고 버티면 눈이 아파요

이상하게 학교만 가면 오전/오후 상관없이 과도하게 졸립니다. 잠은 12시~7시 총 7시간 자고요 밤샜을때도 이정도로 졸리진 않았습니다. 초6까진 괜찮았는데 중1때 피곤하다고 느끼다가 중2 올라와서 왜 이러지 싶을정도로 과도하게 잠이와요

수업시간에 자면 벌점도 먹고 중간/기말할때 힘드니까 수업 들을려고 버티는데요 이 버티는 과정에서 왼쪽눈이 엄청 아픕니다. 오른쪽 눈은 멀쩡해요

막 세상이 흐려지면서 계속 돌고 머리랑 왼쪽눈이 동시에 아픕니다. 머리는 단순한 두통이고 눈은 무언가가 누르는? 느낌이에요 원래 쉬는시간에 잘 안자는데 너무 졸려서 쉬는시간에 자가지고 애들이 항상 깨워줘요. 근데 잔다고 안 졸린것도 아니에요 걸으면 잠이 좀 깬다길래 쉬는시간에 복도를 걸어봐도 효과가 없고

이래서 수업시간마다 곤란해요 졸리다고 잘수도 없고 그렇다고 깨있기엔 너무 아프고 졸려서 버티기가 힘들어요. 7시간만 자서 그런가 싶어서 10시간도 자보고 이것저것 해봤습니다. 혹시 이유를 아실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기면증(주간졸림증)으로 문의주셨습니다.
    기면증은 주간에 참을 수 없이 졸립고, 렘 수면의 비정상적인 발현을 보이는 질환입니다.
    원인은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으며 신경계의 자가면역성 손상에 기인한다는 설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약물치료로 모다피닐(Modafinil)과 같은 중추신경 흥분제에 비해 부작용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기면증 증상이 나타나신다면 정신건강의학과나 신경과 진료를 보시길 권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저도 학생 때는 왜 그렇게 수업 시간에 졸렸는지 모르겠습니다. 지금 적어주신 것만 보면 수면에 문제가 있어 보이기는 합니다. 피곤함의 원인이 있는지 확인이 필요할 것 같고, 또한 수면의 질이 떨어져서 잠을 자도 푹 자지 못하는 경우가 아닌지 확인이 필요할 듯도 합니다. 좀 더 수면에 대한 검사를 해보는 것이 좋을 듯 하니 가까운 수면 클리닉에 가셔서 진료를 받아보시기를 권유드립니다.

    서민석 드림


  • 말씀을 들어보니 기면증 혹은 특발성 과수면증의 가능이 있습니다. 기면증이라고 하면 말하다가 푹 쓰러지듯이 자는 걸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초기에는 주간에 과도하게 졸린 증상이 대표적입니다 특발성 과수면증과 비교하기 쉽지 않지만 대체로 기면증은 수면 중간중간에 깰 때가 많고 특발성 과수면증은 밤에 깨지않고 잘 자는데도 졸립다고 합니다. 기면증이 오래 지속된다고 큰 병이 되지는 않지만, 일상생활, 학업, 직장생활에 밤에 잠을 안자고 논다거나 게으르다거나 하는 오해를 받아 크게 불편을 겪을 수 있습니다. 검사는 병원에서 야간수면다원검사라는 것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병원에서 증상을 이야기 한 후 검사를 받고나서 만약 진단받게된다면, 주변사람에게 알리고 유사시에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것이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구화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수면상태에서 얕은 잠으로 자는 비율이 커서일 수 있습니다.


    수면의 질 높이는 방법

    운동을 조금이라도 하셔야합니다. (활동양이 적으면 몸은 피로하나 잠이 들지 않는 경우가 생기게 됩니다.)

    낮잠을 주무시는것은 좋지만 30분넘게 주무시는것은 밤잠을 방해하므로 좋지 않습니다.

    금연하는것이 좋고, 흡연을 하시더라도 수면전 2~3시간 전에는 금연하셔야합니다.

    과도한 커피를 마시면 안됩니다.

    수면 전 2~3시간전 족욕이나 반신욕을 하시는것이 좋습니다.

    (전체적인 몸의 이완에 도움을 주게 되기 때문입니다.)

    낮시간에 햇빛을 10분이상 쬐시는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