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강원도의빠워
강원도의빠워

기준금리를 왜 굳이 바꾸는건지 궁금합니다

그냥 기준금리를 바꾸지말고 딱 깔끔하게 정해서 하면 안되나요 ? 왜 상황에따라 게속 바꾸는건지 이해가 안되서요 왜그런건가요 ?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정말 많은데, 기준금리(통화정책)이 없다면 경제가 끝없이 물가상승으로 인플레이션에 빠지거나, 반대로 경기침체 디플레이션에 빠져서 파탄날 우려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정부가 하는 통화정책 중 가장 중요한게 기준금리 결정이죠

    기준금리는 우리나라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을 고려해서 변경하는 통화정책입니다

    요즘처럼 경기가 안 좋으면 기준금리를 인하해서 시중 통화량을 늘려서 소비를 활성화시켜 내수 경기를 부양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반대로 경기가 너무 좋아서 물가가 계속 오르면 기준금리를 인상해서 시중 통화량을 흡수해서 소비를 감소시켜서 물가를 하락시킵니다

    그래서 기준금리를 한금리로 고정하긴 힘든거죠!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기준금리를 고정해두면 글로벌 정세에 맞추어 경제를 변화시킬 수 없고 우리나라 내수

      시장에 맞춰서 금리를 결정할 수 없게 됩니다

    • 즉 기준금리를 고정해두는 상황은 대내외 경제 상황이 거의 변화지 않는 상황이라면

      기준금리는 꾸준히 동결이 될 것입니다

    • 무역이 이루어지지 않는 폐쇄적인 상태였다면 기준금리를 굳이 안바꾸어도 되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시장이 침체되거나 과열되었을 경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이며 빠른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 금리 조정입니다. 금리를 높이게 되면 시장 과열을 식힐 수 있으며, 반대로 금리를 낮추게 되면 시장 경기침체를 활성화 시킬 수 있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국가는 정부가 재정정책을 중앙은행은 통화정책을 다룹니다

    그리고 자본주의 경제학에선 신용창출 기능이 기본이고 이로 인해서 시장의 통화 차입 자본조달과 공급에 따라서 지속적으로 통화공급량과 수요량이 달라지고 이에따라서 시장금리와 시장유동성 각국의 환율이 지속변동하는 역동성을 보입니다

    이런 환경에 따라서 기준금리를 조절하는 통화정책 즉 중앙은행의 시장을 조절하는 대부자역할이 필요합니다

    이에 기준금리는 딱 정해서 갈수도 없으며 환율도 선진국들이 고정환율제를 안하는 이유도 마찬가지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가 과도하게 상승할 경우, 기준금리를 인상하여 시중의 돈을 흡수하고 대출 금리를 높여 소비와 투자를 줄이는 효과를 통해 물가 상승 압력을 낮춥니다. 반대로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거나 하락할 우려가 있을 경우, 기준금리를 인하하여 시중에 돈을 풀고 대출 금리를 낮춰 소비와 투자를 촉진하여 디플레이션을 방어합니다. 경기가 지나치게 빠르게 성장하여 과열될 경우, 인플레이션 위험이 높아지므로 기준금리를 인상하여 경제 성장 속도를 조절합니다. 경기가 침체되거나 침체될 우려가 있을 경우, 기준금리를 인하하여 기업의 투자와 가계의 소비를 활성화시켜 경기 회복을 도모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기준 금리를 바꾸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미 질문해주신 내용에 그 답이 있습니다.

    바로 경제 상황이 시시각각 달라지기 때문에

    그 상황에 맞는 기준 금리를 책정해서 조정하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현대의 경제는 상당히 복잡하여 여러 원리들이 뒤엉켜 서로서로 작용하며 유지가 되고 있습니다.

    경제가 둔화되거나 과열될때도 정부의 개입이 필요합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이런 금리 정책을 통해 조절합니다. 경기가 좋지 못할때는 금리를 낮춰 시중에 자금 유동성을 공급해 활성화를 시키고 경기가 좋을 경우 인플레이션을 잡기위해 금리를 높혀 통화량을 조절합니다.

    이렇게 경제가 유지되는 것이지요.

    참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