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과매도를 판단하는 기준은 뭔가요?
주식 과매도 시기를 잡으면 단기 하락은 있을지라도 장기적 승률은 100%에 근접하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주식 과매도를 판단하는 기준은 뭔가요?
안녕하세요. 윤상호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의 과매도를 판단하는 지표는 RSI, 스토캐스틱지수, 볼린저밴드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지표들은 그래프를 통해서 과매도와 과매수 판단합니다.
통계적으로 맞을 확률이 80~90% 정도 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지표를 너무 신뢰하게 되면
찐상승장이나 찐하락장에서 수익을 얻을 기회를 놓치거나 큰 손실을 보게 됩니다.
개인적으로 가장 편안한 투자는 3~5년을 투자기준으로 잡고
매달 적립식으로 투자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면 타이밍에 신경쓰지 않고 장기적인 상승의 흐름을 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식 과매도 판단 기준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주식과매도 판단은 주로 RSI와 같은 기술적 지표를 사용하여서 알 수 있고
RSI 값이 30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과매도 상태로 볼 수 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과매도라는 게 사실 딱 떨어지는 기준이 있는 건 아닙니다. 보통 RSI 같은 기술적 지표가 30 밑으로 내려가면 많이 쓰긴 하는데, 이게 무조건 반등을 의미하진 않습니다. 그냥 보기엔 싸 보이는데 기업 실적이나 업황이 안 받쳐주면 더 빠질 수도 있거든요. 그래서 느끼기엔 기술적 신호랑 펀더멘털을 같이 보는 게 맞습니다. 차트만 보면 함정에 빠지기 쉽고, 기업이 왜 저평가됐는지 배경까지 확인해야 과매도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과매도는 RSI, 스토캐스틱 같은 기술적 지표와 거래량 급감 등을 참고합니다. 단기 반등 가능성을 보는 것이지 무조건 상승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장기 관점에서는 기업 가치가 더 핵심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는 RSI라고 하는 주식 차트 지표가 있는데 이 지표가 30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 과매도 구간으로 봅니다
또한 120일 선을 강하게 이탈하는 경우 단기적으로 과매도 구간에 들어온다고 판단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과매도 기준은 보통 기술적으로 판단하는게 일반적입니다 가장 대표적인게 RSI인 상대강도지수입니다. 보통 일반적으로 RSI(14일) < 30을 과매도로, < 20을 극단적 과매도로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스토캐스틱 오실레이터에서는 %K나 %D 값이 20 이하일 때 과매도로 판단하며 MFI는 거래대금을 반영하여 20 이하일 때 과매도 신호로 해석됩니다. 또한 볼린저밴드에서 Z스코어를 이로 설정하고 하단을 과하게 이탈할경우 과매도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가장 쉽게 해석할 수 있는게 공포탐욕지수에서 극단적인 공포에 있거나 VIX지수가 급격하게 상승하여 40이상을 초과해서 60~80까지 이렇게 갈경우 극단적인 공포로 과매도 구간으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풋콜레이쇼로 판단할 수 있는데 현재 콜옵션매수보다 풋옵션 매수가 극단적으로 증가하여 이 수치가 2~3이상으로 갈경우에도 극단적인 과매도 구간으로 해석됩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과매도를 판단하는 방식은 탐욕 공포 지수가 있습니다. 공포 지수가 너무 올라가면 매도가 너무 많다고 볼수 있습니다. 또는 RSI 지표가 많이 떨어져도 그렇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의 과매도를 판단하는 기준은 보통 보조지표를 이용해서 판단합니다. 이는 대표적인게 rsi지표로 70이넘으면 과매수 30이하면 과매도로 봐서 이에대한 대읓을 보통하는 편입니다. 이러한 것을 통해 대략적인 흐름을 파악할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과매도는 일반적으로 RSI나 스토캐스틱 오실레이터 등을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또한 볼린저 밴드 등을 참고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의 과매도 상태를 판단하는 주요 기술적 지표로는 RSI (상대강도지수)가 30 이하이거나, 스토캐스틱 오실레이터가 20 이하일 때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표의 과매도 상태가 장기간 지속될 가능성과 함께 기업의 펀더멘탈 등 다른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해봐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하여 이동평균선을 크게 이탈하는 경우 과매도로 판단합니다. 볼린저 밴드나 그외 보조지표를 같이 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