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23.01.29

사약이 듣지 않는 체질은 어떻게 죽였나요?

대표적인 사형 방법으로 사약이 있는데 사약이 몸에 잘 받아서 먹어도 죽지않는 체질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그 죄인을 어떻게 죽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약의 성분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 성분은 비상이다. 비상은 자연상태의 비소를 원료로 제조된다. 비소는 무색무취의 백색 분말로 몸 속에 들어가면 효소단백질 분자과 결합해 세포의 호흡을 방해해 세포를 죽게 만든다. 비상을 한번에 치사량 이상 흡입하면 구토, 설사 모세혈관 확장, 혈압감소 등이 일어나며, 중추신경기능이 마비돼 1-2시간 내에 사망하게 된다.

    그 외에 초오와 부자도 사약의 성분으로 많이 쓰였으며, 초오, 부자의 주성분인 아코니틴, 아코닌은 중추신경을 초기에는 흥분시켰다가 마비시켜서 사망에 이르게 한다.

    하지만 사극에서 처럼 바로 먹고 바로 피를 토하는 경우는..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허위에 가깝다고 보시면됩니다..

    사약자체가 먹고나서 흡수되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즉 얼마나 먹고.. 얼마나 빨리 반응하느냐에 따라다른거죠..

    따라서 어떤이들은 약발이 안나서..

    사약을 먹이고 뜨거운 방에 가두기도 했습니다..

    사약이 듣지 않으면 참수형을 했다고 알려져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이 경우 사약을 계속 먹도록 해 사사하거나, 그래도 죽지 않았다면 결국 무기(칼 등)를 이용해서 참하는 등의 방법으로 죽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실제로 사약을 먹고 죽지않는 경우가 있었다고 합니다. 총7번을 먹었는데도

    살아 있어서 다른 방법으로

    사형집행이 되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