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쾌활한이구아나273
쾌활한이구아나27321.12.29

밥을 계속 씹으면 단 맛이 나는 이유?

제가 그냥 쌀밥을 엄청 좋아하는데요

입안에 밥을 먹고 계속 씹다보면

밥에서 고소한 맛이 아니라

단 맛이 나더라고요?

그 이유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거북이놔두루미입니다.

    단맛이 나는 것은 포도당이라는 물질 때문입니다. 포도당은 포도당 분자들이 수없이 많이 모여 있는 것이지요. 밥알의 주성분은 녹말인데, 녹말 분자가 수없이 많이 모여 있는 것입니다. 녹말 분자는 또 수없이 많은 포도당 분자들이 연결되어 있는 것이구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김점숙 심리상담사입니다.

    쌀의 성분인 녹말은 침 속에 있는 아밀라아제에 의해 포도당으로 분해됩니다. 밥을 오래 씹으면 단맛이 나는 것도 당으로 분해되기 때문입니다.


  • 단 맛의 원인은 포도당 때문입니다.

    밥알의 주성분은 녹말인데, 이 녹말은 포도당이 수없이 결합되어서 만들어 집니다. 녹말 자체는 특별한 맛이 없습니다.

    하지만 입안에서 계속 씹게되면 침안의 아밀레이스라는 효소와 치아의 움직임으로 인해서 녹말이 포도당으로 분해됩니다.

    때문에 밥을 계속 씹다보면 단맛이 납니다.


  • 안녕하세요. 풍성한바다표범81입니다.

    밥이라는 탄수화물이, 우리의 입속에 들어와

    침, 곧 아밀레이스와 결합하여 최종분해 하게 되면 포도당이 되는데요.

    이 포도당이 단맛을 내기 때문이예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