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도소득세 이미지
양도소득세세금·세무
양도소득세 이미지
양도소득세세금·세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0.03.16

주식에서 레버리지 인덱스는 장투 하지말라고 하던데 원리가 뭔가요?

레버리지 인덱스 상품을 장기간 투자하면 제로섬은 커녕 마이너스섬이라고 하더라구요.

그러니까..기본 인덱스 상품은 제로섬이 되더라도, 레버리지 상품은 마이너스가 된다는건데요..이게 원리가 왜 그런거죠?

어차피 지수*2배로 가는 거면 시세변동이 없을 땐 기본상품이랑 같은거 아닌가요?

저도 잘 모르다 보니.. 설명이 좀 어렵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이영우회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원리는 간단합니다.

    기초자산으로 나스닥을 추종하는 인덱스 펀드가 있다고 가정해보세요. 이게 실제론 나스닥 '지수'를 추종하는게 아니라 나스닥 '수익률'을 추종하는 상품입니다.

    만약 나스닥 100포인트에서 80포인트(-20%)가 되고 다시 100포인트(+25%)가 된다고 생각해보세요.

    그럼 100만원을 투자했을 때 기본 인덱스는 100만원이 됩니다. 하지만 2배 레버리지 상품은 100만원 * 60% * 150%로 90만원이 됩니다.

    결국 지수가 장기간 횡보하게되면 음의 복리효과가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확하진 않으나 미국 증시에서 tqqq(3배 레버리지)가 인덱스 상품 중 수익률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결국 미국시장의 성장세가 음의 복리효과를 상쇄하고도 남은 것이죠.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