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숙련된하이에나116
숙련된하이에나11624.03.29

우리나라 수출이 갈수록 줄어드는 이유가 뭔가요?

우리나라 수출이 지금으로부터 10년 전부터는 훨씬 많이 줄어든 걸로 알고 있는데 수출이 갑작스럽게 줄어든 이유가 뭔가요? 이유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국제 경기 침체로 인해 세계 각국의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이로 인해 주력 산업인 반도체, 자동차, 조선 등의 한국의 수출이 감소했습니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한 공급망 불안으로 원유, 금속 등의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여 제조업 비용이 증가했습니다. 중국의 경제성장률 둔화로 한국의 대중국 수출이 줄었으며, 일본은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수출시장 점유율을 높여 한국과의 경쟁을 심화시켰습니다. 이러한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한국의 수출이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그러나 최근 국제 경기 회복과 함께 한국의 수출도 점차 개선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한국의 수출이 감소한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아래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주요 원인들입니다.

    - 국제 경기 침체 : 세계 경제의 성장률이 둔화되면서 글로벌 수요가 감소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한국의 주력 산업인 반도체, 자동차, 조선 등의 수출이 감소하게 되었습니다.

    - 경쟁 심화 : 중국 등신흥국의 추격으로 인해 경쟁이 심화되었습니다. 특히, 중국은 저렴한 인건비와 대규모 인프라 투자를 바탕으로 산업 고도화를 추진하면서 한국의 수출 시장을 잠식하고 있습니다.

    - 환율 변동 : 환율 변동은 수출 기업의 채산성에 큰 영향을 줍니다. 최근에는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면서 수출 기업의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습니다.

    - 산업 구조 변화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접어들면서 산업 구조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지 못한 기업들은 경쟁력이 약화되어 수출이 감소하게 됩니다.

    - 보호무역주의 확산 : 국제사회에서 보호무역주의가 확산되면서 수출 장벽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원인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업들이 혁신적인 기술 개발과 경영 전략을 수립하고, 정부는 적극적인 지원 정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경훈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 수출 산업이 경기변동에 민감한 중간재 위주 품목군으로 구성된 측면에서 주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2023년 지난해 4분기 총수출 감소액 175억달러 중 150억달러(85.7%)가 중간재 수출 감소에서 비롯됐습니다. 지역별로는 생산기지인 중국(-17.8%), 베트남(-10.7%)에 대한 수출이 크게 감소했습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 -44.5%, 디스플레이 -36.0%, 철강 -25.9%, 석유화학 -25.0% 등입니다. 반도체 한 품목의 수출 감소가 총수출 감소액의 절반 이상(52.4%)을 차지했습니다. 반도체 수출 부진은 경기 위축 전망에 따른 투자 수요 감소에 비대면 수요 감소가 겹친 탓으로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우선 우리나라 최대 수출 국가인 중국의 수입시장 위축, 그리고 우리나라의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 가격 하락으로 수출 실적이 감소된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무역협회 K-STAT등을 통해 확인해보면, 우리나라의 무역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국가는 중국입니다. 현재 중국의 산업 경기가 둔화되어 있는 만큼 중국 외 다른 수출 방안을 찾지 못하는 한 빠른 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반도체 수출 부진도 큰 원인 중 하나입니다. 전세계적인 경기 침체에 따른 반도체 수요 감소와 재고 누적 등으로 반도체 가격이 하락한 것이므로, 글로벌 수요의 둔화가 지속된다면 수출 감소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수출은 2023년에는 전년 대비 5.2% 감소했고, 2024년 1월에도 8.5% 감소했습니다. 2023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세계 경기 침체는 주요 수출 시장인 미국, 유럽, 중국의 성장 둔화를 가져왔습니다. 이로 인해 한국 기업의 수출 수요가 감소했을 뿐 아니라, 반도체, 자동차, 조선 등 한국의 주요 수출 품목 가격이 하락하였고, 중국, 베트남 등 신흥 경제국의 경쟁력이 강화되면서 한국 기업의 시장 점유율이 감소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아닙니다. 우리나라는 10년전부터 수출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아래 그래프를 참고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참고로 2023년에는 6,300억 달러를 기록한바 있으며 잠깐 주춤하고 있지만 반도체와 자동차의 수출 증가로 회복세로 돌아서고 있습니다.

    답변 내용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박재민 관세사 드림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까지 계속된 수출액 성장이 있었습니다.

    다만, 2023년에는 대중국 수출액 감소, 반도체 수출액감소 등의 악재로 인해 수출액이 감소하였습니다.

    지표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우리나라의 수출액은 증가하기도 감소하기도 하지만, 대체적으론느 우상향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의 10년 전 수출액의 경우 USD 572,664,607, 000 23년의 수출액의 경우 USD 632,225,824,000로 꾸준하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다른 사업들의 경우 중국에 밀려서 매출이 감소하고 있지만 반도체, 자동차 등의 물품은 수출량이 계속 증가하고 있기에 전체 수출실적은 계속 증가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 수출액 및 증감률

    2023년 632,225,824천달러 증감률 : -7.5

    2022년 683,584,760천달러 증감률 : 6.1

    2021년 644,400,368천달러 증감률 : 25.7

    2020년 512,498,038천달러 증감률 : -5.5

    2019년 542,232,610천달러 증감률 : -10.4

    2018년 604,859,657천달러 증감률 : 5.4

    2017년 573,694,421천달러 증감률 : 15.8

    2016년 495,425,940천달러 증감률 : -5.9

    2015년 526,756,503천달러 증감률 : -8

    2014년 572,664,607천달러 증감률 : 2.3

    2013년 559,632,434천달러 증감률 : 2.1

    최근 10년간 코로나 수출액은 증가추세입니다.

    2023년에 수출액이 감소하였습니다. 미중 무역갈등이나 러시아 - 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영향으로 수출액이 감소하였습니다.

    2024년 (1월~2월) 수출액은 107,155,853천달러이며, 증감률은 11.2%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