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충분히환상적인베고니아
충분히환상적인베고니아
5일 전

SH 전세임대주택에 대한 질문입니다

  1. 지원금이 1억3000인데 그중 1억 2350만원 나오는게 맞나요?

  2. 주택을 알아볼때 전세임대포털에서 알아보면 될까요 ? LH가능한 주택이면 SH도 가능한 주택인지요 ?

  3. 지원금 1억 3000이면 제가 보는 집은 2억인데 제가 가지고 있는돈에서 부족해서 2천정도 대출받고싶은데 다른 전세 대출을 받을 순 없겠죠 ?? 어떤 대출이 좋을지 알려주세요!

  4. SH 신청하고 2달뒤에 LH 공공분양 청약을 또 신청 할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권혁철 경제전문가blue-check
    권혁철 경제전문가
    Dongdo eletronics
    5일 전

    안녕하세요. 권혁철 경제전문가입니다.

    SH 전세임대주택에 대해 궁금한 점이 많으신데, 하나씩 정리해 드릴게요.

    먼저, 지원금 1억 3,000만 원 중 실제 지원되는 금액이 1억 2,350만 원이 맞는지에 대한 질문인데, 이는 보증금의 95%를 지원하는 일반적인 구조를 따르는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정확한 지원 금액은 신청자의 조건(소득, 자산, 유형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SH공사에 직접 문의해 확실한 금액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주택을 알아볼 때 전세임대포털을 활용하는 것이 가장 편리합니다. 다만, 일반적인 부동산 플랫폼에서도 전세 매물을 찾고, 집주인이 SH 전세임대 계약을 수락하는지 확인하는 방식도 가능합니다. 그리고 LH에서 가능한 주택이라고 해서 무조건 SH에서도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SH는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제도이고, LH는 전국 단위로 운영하기 때문에 기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SH 전세임대가 가능한 주택인지 별도로 확인해야 합니다.

    지원금 1억 3,000만 원으로 2억짜리 전세를 구하려면 본인이 약 7,000만 원을 부담해야 하는데, 부족한 2,000만 원을 추가 대출로 충당할 수 있는지 궁금하신 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SH 전세임대는 다른 전세대출과 병행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이나 신용대출 등 일부 대출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니, 은행에 직접 문의해 가능한 옵션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SH 전세임대를 신청한 후 2개월 뒤에 LH 공공분양 청약을 신청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인데, 이는 SH 전세임대 계약이 유지되는 동안 무주택 자격이 유지되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전세임대는 무주택자로 간주되기 때문에 LH 공공분양 청약 신청이 가능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LH 공공분양의 청약 요건 중 "기타 공공지원 주택" 관련 제한이 있을 수도 있으니, LH 청약 공고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