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자동차관세 정책은 우리나라의 자동차산업에는 어떤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하고 있나요?
4월부터 미국으로 수출하는 자동차에 25%의 관세가 추가 된다고 하는데 이로 인해서 우리나라 자동차 업계는 어떤 영향을 받을 것이며 어떤 대책들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25% 자동차 관세 정책은 한국 자동차 산업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은 현대차와 기아는 가격 경쟁력 약화로 인해 판매량 감소와 영업이익 축소가 예상되며, 이는 고용과 생산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관세로 인한 소비자 가격 상승은 미국 시장 내 점유율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 자동차 업계는 현지 생산 비율을 높이고, 대체 시장을 적극적으로 개척해야 합니다. 유럽, 아시아 등 신흥 시장에서 전기차와 같은 친환경 차량 수요를 공략하며 새로운 수익원을 확보할 필요가 있습니다. 동시에 정부의 지원을 통해 기술 혁신과 비용 절감을 추진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는 전략이 요구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한국은 미국에 연간 약 140만 대의 자동차를 수출하며, 현대차와 기아가 전체 수출의 약 70%를 차지합니다. 25% 관세는 차량 한 대당 평균 $3,000~$10,000의 추가 비용을 발생시켜 가격 경쟁력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관세로 수출이 줄면 국내 생산량이 감소할 가능성이 크며, 특히 부품 업체들이 직격탄을 맞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현대차의 미국 수출 감소는 국내 생산 50만 대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는 관련 일자리 감소로도 연결될 수 있습니다.
현대차와 기아는 이미 조지아, 앨라배마 등에서 공장을 운영 중이며, 추가 투자를 통해 미국 내 생산 비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관세는 미국산 부품 비율이 높은 차량에 덜 적용되므로, 현지화로 비용 부담을 줄이는 전략이 유효합니다.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일부 유예를 신청하는 등의 협상을 할 수 있을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트럼프 정부의 자동차 관세 부과전략은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에 큰 피해를 줄 것으로 생각됩니다. 일단 수출감소에 대한 영향으로 완성차 업계는 물론 부품 산업에 대한 타격이 불가피하며 현지 생산 증가의 압박을 받게됩니다. 현대차는 미국에 대한 투자를 늘릴 것이지만 이는 하루아침에 되는 것이 아닌 만큼 여러가지 위기가 예상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