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대단한친칠라280
대단한친칠라28023.03.17

플라톤 국가론의 주요내용은 무엇인가요?

국가론은 플라톤의 정치철학에 대한 집대성으로 알고 있습니다. 국가론의 주요내용은 무엇이고 후대의 정치철학에 어떤 영향을 미쳤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플라톤의 국가론에서 말하는 국가란 정식적인 나라 또는 정부의 형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 정치 공동체 또는 정치체제 의 의미입니다.

    플라톤은 국가를 구성하는 계층을 세개로 나누는데 지배자, 군인 , 생산자로 결론적으로 사람들이 각자의 탁월한 덕에 따라 그에 맞는 역할을 담당하여 지혜 ,용기, 절제의 덕이 조화를 이루면 그 국가나 사회는 정의롭게 된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이 조화는 용기와 절제가 이성에 의해 통제받고 있는 상태로 인간의 영혼이 이성에 의해 통제받아야 하는 것처럼 국가체제 역시 지혜로운 사람에 의해 다른 계듭들이 통치받아야 한다는 것으로 지혜를 소유하고 있는 철학자들이 군인과 생산자 계층을 통치해야 한다는 결론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플라톤의 국가론은 그의 대표작 중 하나로, 그의 이상적인 국가 체제에 대한 생각을 담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대화체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크라테스와 그의 제자들이 이상적인 국가 체제에 대한 논의를 펼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 작품에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정의론: 플라톤은 국가 체제에서 정의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정의란 각 개인이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2. 계급 구분: 플라톤은 국가를 세 개의 계급으로 나누어 운영하는 것을 제안합니다. 지도자 계급, 군인 계급, 노동 계급으로 나누어, 각 계급이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도록 합니다.


    3. 수령 체제: 플라톤은 국가를 지도하는 지도자 계급에 대해 절대적인 권력을 부여하는 것을 제안합니다. 이 지도자 계급은 선택적으로 선출되며, 지적 능력과 도덕성 등의 기준에 따라 선발됩니다.


    4. 공유 체제: 플라톤은 국가 체제에서 개인적인 소유보다는 공유적인 소유를 지향합니다. 이를 위해 노동 계급은 자신이 생산한 모든 것을 공유하며, 지도자 계급도 개인적인 소유보다는 공동체의 이익을 우선시합니다.


    5. 교육 체제: 플라톤은 교육을 통해 개인의 능력을 발휘하고, 국가의 이익을 위해 봉사하는 시민을 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합니다. 따라서, 국가에서는 교육체제를 구축하여 모든 시민들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이상적인 국가 체제를 제안하며, 그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한 플라톤의 국가론은, 이후의 정치 철학에 큰 영향을 끼친 작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