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지수 시장 예상치나 금리 예상치 이런건 어떻게 아나요?
물가지수 발표할때나 금리 발표 할때 보면 시장에서는 이렇게 예상했었는데 금리 한번 더 올리고 말거라도 예상했는데 등 기업실적 외 이런 경제지수 에 대한 예상치는 어떻게 아는 거에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지수예상치와 같은 중요한 경제지표는 인베스팅닷컴, 블룸버그 등과 같은 금융 관련 정보를 다루는 곳에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의 인상여부는 최근 발표된 물가지수와 경제 동향 fomc 의장의 발언 등을 종합하여 예측합니다.
시장상황이 예상하기 힘들 때는 금리 인상여부도 예측하기 어려워서 자주 틀리곤 합니다.
예상에서 벗어났을 때 시장은 더욱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업의 관리자들에게 설문조사를 하기도 하고 애널리스트들의 자료를 참고하여 예측합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과거의 상황을 회귀분석하여 현재 지표를 대입하여 예측치를 발표하고 실제치와 비교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마디로 각종 지수 등을 참고도 하며
설문조사 등을 통하여 이러한 예측치를
내는 것인이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통계에 능한 애널리스트들이 각자의 기준을 가지고 컨센서스를 발표합니다 여러 애널들의 예상치의 합이라 생각함 간단한거 같아용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기준금리의 인상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 핵심 지표는 CPI(소비자 물가지수) 입니다. 물론 CPI는 또 세분화됩니다.(수입물가지수, 근원물가지수, 생산자물가지수등)
이 CPI의 추정치를 기준으로 향후 금리 인상의 대하여 예측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지수 예상치나 금리인상에 대한 예상치 전망은 해당 시장 참여자들의 추측에 기반한 데이터를 반영하는 값입니다. 물가지수의 경우에는 실제 미국 내에서 소비되었던 에너지부문이나 소비자물가지수를 구성하는 항목들의 소비행태를 분석하여 추측하며, 금리인상에 대한 전망치는 시장 참여자들이 이러한 금리인상 전에 발표되어지는 CPI나 PPI, 실업률등을 토대로 추측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