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위대한발발이240
위대한발발이240

수면중 입안을 자꾸만 깨물어요..양쪽 볼이 상처가 없어지질 않아요., 괜찮을까요?

성별
여성
나이대
45
기저질환
없음
복용중인 약
없음

어느날 부터 입안 볼안쪽에 피주머니가 생겨서,.머지? 하고 그냥 지나쳤는데..어는날은 수면중 볼이 씹히는게 느껴졌는데..놀라 확인해보니 입안 볼쪽이 씹혀서 상처가 나있더라구요.,

그런데 이게 한두번이 아니고 입안에 상처가 아물날이 없이 계속 그러는데 ., 왜 그러는것인지?안 그랬음 좋겠는데 어케해야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현재로서는 수면 중 이갈기나 다른 문제가 없는지 수면다원 검사등을 통해 수면패턴을 확인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증상이 심하다면 마우스 피스등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으나 일단 이비인후과 진료 및 필요시 신경과 진료를 통해 적절한 조언을 얻는 것이 좋겠습니다.

    • 볼 안쪽에 발생한 피주머니 같은 병변은 특별한 치료가 필요 없이 스스로 해결됩니다만 반복적으로 생기는 것은 썩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수면 중에 입 안을 무의식적으로 깨무시는 증상이 있으신데 이는 아무래도 스트레스와 같은 심리적 요인이 클 것입니다. 최대한 스트레스를 줄이고 편안한 환경에서 주무시도록 노력해보시고, 그럼에도 해결되지 않는다면 수면 개선 관련하여 정신건강의학과 진료 및 치료를 받아보시는 것을 권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수면 중 이갈이를 하거나 코골이를 계속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는 수면 중 교합 안전 장치를 치과에서 처방 받아 사용하기도 하며 그럼에도 효과가

      없는 경우, 보톡스 시술을 받는 분들도 있지만 그 정도까지 진행하는 경우가 흔한 것은

      아닙니다. 일단 코골이나 이갈이를 확인하기 위해 수면다원검사를 받아 보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여 치과 혹은 수면 검사가 되는 과 진료를 받아 보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입안에는 수많은 세균이 정상균총을 이루며 서식하고 있습니다. 구내염이나 입안의 작은 상처 등은 면역이 저하되는 상황에서 병변을 만들 수 있고 대부분 약물복용 없이 수일내 호전되게 됩니다. 심한 부종과 통증 열감은 항바이러스제나 항생제 복용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자면에 입 내부를 깨무는 습관이 있다면 마우스피스를 착용하고 자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혹시 이갈이를 하는 것은 아닐까 싶습니다. 그렇지 않다면 수면중에 볼을 씹기는 어려울 것 같거든요. 이갈이가 있다면 치과에 가서 진료를 받으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수면중에 볼을 씹는 버릇이 있는것 같습니다.

      방지하려면 마우스피스같은걸 물고 자는방법도 있는데 많이 불편합니다.

      그외 특별히 다른 방법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근수 의사입니다.

      수면 다원화 검사등을 통해 수면습관을 먼저 확인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추가적인 질문사항이 있으시면 댓글 주세요. 답변 달아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노용성 의사입니다.

      저도 자주 그러는데 입에 마우스피스 제작해보십시오

      이갈이가 심하고 입에 음압걸어서 양볼 씹는사람들에게 좋습니다.

      나중에는 턱근육도 같이 아프실겁니다.

      턱관절보톡스도 맞고 마우스피스도 제작하면 해결됩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진료를 통해서 확인을 하시는게 맞겠습니다.구강내 점막이 붓지 않는다면 볼을 씹는건 정상적인 상황이 아닙니다.

      우선은 치과 진료를 보시는게 맞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