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묶는걸 따로 알려주지도 않았는데 묶는걸 어떻게 배워서 하죠?
딸아이가7살인데 누가 머리묶는걸 알려준적도 없는데 혼자 본인머리는 물론 동생머리도 엄청 잘 묶어주더라구요 어떻게 이렇게 할 수 았는거죠?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은 주변의 행동을 주의 깊게 관찰합니다. 부모님이나 형제, 친구들이 머리를 묶는 모습을 보면서 자연스럽게 배웠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어린 아이들은 본 것을 그대로 따라 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머리를 묶는 모습을 본 후, 그 방식으로 직접 해보았던 것일 수 있습니다. 아이는 스스로 시도해보는 것을 좋아합니다. 호기심이 생기고, 직접 해보면서 익숙해진 것 같아요. 머리를 묶는 과정은 손과 손가락의 협응력을 필요로 합니다. 아이가 소근육이 발달하면서 자연스럽게 능숙해진 것일 수도 있습니다.아이가 자신감이 많아 시도해보았던 경험도 한몫할 수 있습니다. 성공적으로 해내고 나니 더 자신감이 붙어서 더 잘하게 된 경우도 많습니다.
아이의 이러한 능력을 칭찬해주고, 계속해서 자율성을 키울 수 있도록 격려해 주면 좋을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학습을 통해서 머리를 묶는 것을 배울 수 있습니다.
즉, 엄마가 동생을 머리 묶어주는 모습을 학습을 통해 인지를 했기에 머리를 묶는 것은 쉽게 따라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그리고 인형놀이를 통해서 친구와 역할극을 하거나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에서 선생님이 친구를 머리를 묶어주었던 것을 유심히 관찰을 하고 학습을 했다면 머리를 묶는 것을 잘 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은 주변에서 본 것을 흉내 내고 따라 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머리 묶는 장면을 부모님이나 유치원 친구들, 혹은 TV나 유튜브와 같은 매체에서 자연스럽게 접하고 배웠을 가능성이 큽니다. 또한, 아이들은 자신의 신체를 탐구하고 조작하는 과정에서 손재주를 발달시킵니다. 딸아이가 호기심을 가지고 꾸준히 연습하면서 기술을 습득한 것 같네요.
이처럼 아이들이 스스로 새로운 능력을 터득하는 과정은 자연스러운 발달의 일환입니다. 딸아이가 이런 창의성과 손재주를 발휘하는 걸 보면서 더 격려해 주시면, 자기 주도적인 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더욱 키울 수 있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손재주가 아주 좋은 아이인 것 같아요 7살이면 유치원을 다니거나 어린이집에 다니는 걸로 보입니다
옆에서 담임 선생님이 다른 아이의 머리 묶는 모습을 보고 따라 하는 것 같은데 좋은 재주로 보입니다
눈으로 보고 뇌에 인식 시켜 손으로 표현 하는 것인데 재주가 없는 아이들은 눈으로 보고 뇌에 인식이 가능
하지만 손으로 표현은 어렵 습니다
아이의 손재주가 좋아 보이니 아이의 재능을 키워 주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본인의 머리에 묶여진 모양과, 다른 사람들의 묶인 모습을 보고 따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본인의 머리를 묶으면서 연습을 하면서 배우게 됩니다.
그리고 인형 놀이를 하면서 머리 묶는 연습을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유튜브나 티비같은 매체에서 머리 묶는 장면을 보고 따라했을 수 있습니다. 아이들은 특히 흥미를 느끼는 일에는 스스로 도전하며 학습하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머리 묶는 것을 스스로 배운 것은 관찰과 모방을 통해 가능했ㄲ을 겁니다. 부모님이 주변 사람들의 행동을 유심히 보고 따라했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의 경우 친구들이 한 것도 유심히 살펴보기도 하고, 소꿉놀이나 역할놀이를 통해서도 해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부모님이 하는 것을 보고 익히는 경우도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