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MinJun Kim
MinJun Kim

3세 여아의 작은 성공 경험, 자존감을 높이는 칭찬법은?

블록 쌓기, 혼자 신발 신기 등 작은 성공 경험을 한 3세 여자아이에게 자존감을 높여주는 칭찬과 격려의 구체적인 표현법을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3세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기 위한 칭찬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우선 아이가 작은 것에서부터 스스로 할 수 있도록 그로 인해서 성공 경험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주면 좋겠습니다.

    아이의 감정에 공감해주기

    결과보다 과정을 칭찬하기

    작은 성공도 크게 인정하기

    행동을 유도하는 칭찬은 피하기 '이거하면 엄마가 칭찬해줄게~'등

    비난 섞인 칭찬은 금물입니다. '잘했지만 다음엔 더 잘해야지~'

    과장된 칭찬은 피하고 진심을 담기 '세상에서 제일 잘했어!' 등

    칭찬은 구체적으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3세 아이에게 칭찬을 할 때는 구체적으로 어떤 것을 잘했는지 칭찬을 해주세요

    결과 보다는 과정과 시도 자체에 칭찬을 하고, 아이의 관점에서의 성취감을 느끼도록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3세 여아가 블록을 쌓거나 혼자 신발을 신는 등 작은 성공을 경험했을 때는 아이가 무엇을 어떻게 해냈는지 구체적으로 칭찬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네가 블록을 하나씩 쌓아서 이렇게 멋진 탑을 만들었구나!” 또는 “블록이 쓰러져도 다시 도전해서 끝까지 쌓았네. 정말 용감하고 끈기 있구나.”처럼 행동과 과정을 구체적으로 짚어 주면 아이는 자신의 노력을 인식하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아이의 감정에 공감하고 함께 기뻐해 주는 것도 자존감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혼자 해내서 기분이 정말 좋지? 엄마도 네가 자랑스러워.”처럼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고 함께 기뻐해 주면 아이는 자신의 성취를 더욱 소중하게 느끼고 부모와의 정서적 유대도 깊어집니다.

    이처럼 구체적인 칭찬과 감정 공감이 어우러질 때 3세 아이는 작은 성공 경험을 통해 자존감을 건강하게 키워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블록 쌓기, 신발정리, 신발신기 등의 작은 경험을 성공 하였다면

    칭찬의 보상은 리액션을 크게 해주며 "우리 00가 블록을 쌓았구나, 우리 00가 신발을 정리했어 ~ 우와, 우리 00가 혼자서 신발을 잘 신었네 " 라고 말을 전달하면서 아이의 머리를 쓰다듬어 주거나, 아이의 등을 토닥여 주거나, 아이를 안아주는 스킨십을 해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3세 여자아이가 블록 쌓기나 혼자 신발신기 같은 작은 성공을 경험했을 때 자존감을 높여주기위한 칭찬은 구체적이고 진심 어린 표현이 중요합니다

    먼저 아이가 무엇을 해냈는지 명확하게 인정해주는 것이 기본입니다

    예를 들어서 블록을 쌓았다면 '블록을 차근차근 쌓아서 높은 탑을 만들었구나'처럼 아이의 행동을 세심하게 관찰하고 구체적으로 말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아이는 자신의 노력과 성취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고 자신감이 생깁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3세 여아가 작은 성공을 했을 때는 결과보다는 노력과 과정에 초점을 맞춰 칭찬하세요. 예를 들어 '혼자 신발 신었구나! 정말 스스로 해보려고 했구나 멋지다!' 블록이 무너지지 않게 쌓았네!집중해서 했구나!처럼 구체적이고 진심어린 표현은 아이의 자존감을 키우고 스스로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돕습니다.

  • 안녕하세요.

    결과보다는 노력에 초점을 맞추어서 칭찬을 해 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구체적으로 "블록이 무너지지 않게 천천히 잘 쌓았네, 멋있어!"처럼 구체적으로 칭찬하면 효과가 커집니다. 아이의 자신감을 북돋아 줄 수 있는 말을 해 주시고, 성공한 순간을 사진으로 찍거나 그림을 남겨서 기록하면서 성취감을 느끼게 해 주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아이 스스로 만족감을 느끼도록 해 주시고, 실패하더라도 시도한 것으로도 충분히 멋지다는 말을 전달해 주어서 도전 자체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