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님과의 아이 양육 방식의 차이를 어떻게 극복해야 될까요 ?
자녀 부모 된 입장에서 안되는 건 안된다고 단호하게 이야기를 하는데
저희 부모님이자 아이들의 할머니 할아버지는 아이들이 예쁘다고 무조건 다 해 주고 뭐라고 하지마라고 그럽니다
이런 양육 방식의 차이를 어떻게 극복해야 될까요 ?
가급적이면 어른들에게 말을 해서 주양육자의 양육방식에 따라 일관성을 유지해 달라고 부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들을 양육할 때는 일관성 있는 태도가 가장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양육태도 유형 중에서 '민주적 권위형' 양육태도가 친구 같은 아빠(엄마) 유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흔히 버릇이 나빠지지 않을까 염려할 수도 있습니다.
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는 민주적 권위형 부모는 아이의 의견을 잘 수렴합니다.
또 아이가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타이르는 방식으로 훈육합니다.
결국 아이는 정서 지능이 높아지고 스스로 선택과 결정을 하는 자율성과 판단력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훈육은 부모님이 해야 함이 맞구요.
아이들을 조부모님에게 맡기게 되면 제일 문제가 되는 것이
조부모님들은 자기 아이들을 양육 할 때는 엄하게 했던 것과 달리 손녀.손주에게는 무한 애정과 사랑을 아낌없이
준다 라는 것입니다.
하지만, 아이를 무조건적 사랑, 관심, 애정을 주면서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그대로 받아주기만 한다면
아이들은 할머니.할아버지도 뭐라고 안 하는데 우리 엄마.아빠는 괜히 그런다 라는 생각으로 자신들의 잘못을
인지하지 못하고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게 될 것입니다,
그렇기에 부모님과 대화를 통해서 아이를 정말 사랑하고 아낀다면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그냥 넘기지 말아주세요.
라고 정중히 부탁을 드리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먼저 서로의 양육방식이 왜 그런지에 대한 배경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서 부모님이 과거에 경험한 양육방식이나 가치관이 현재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면서도 아이에게 가장 적합한 양육 방식을 논의하고 합의점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와 조부모는 각자의 경험과 생각이 다를 수 있지만 아이를 위한 최선의 방법을 찾기 위해 협력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대화를 통해서 서로의 생각을 솔직하게 나누고
아이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방법을 함께 고민해보세요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양육 방식에 있어서 할머니 할아버지께 명확한 이유를 전달하면서 양해를 구하는 건 어떨까요?
아이에게도 상황을 이해 시킬 수 있도록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조부모와 대화하여 양육 원칙을 공유하고 아이앞에서 일관된 태도를 유지하며 역할 분담을 조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