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용·노동
말쑥한캥거루10
말쑥한캥거루10
23.02.28

포괄임금 계약서 최저임금액과 공휴일 근로 수당 문의

2022년에 계약한 근로계약서(포괄임금제) 다음과 같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1. 2023년 기준 최저 시급이 9,620원인데 현재 2022년도에 작성한 근로계약서 기준으로 기본급이 계산되고 있습니다. 이 경우에 최저시급을 못 받은 것인지요?

최저시급을 못 받은 것이 맞다면, 못 받은 1월, 2월 건은 어떻게 처리를 해야 하나요?


2. 계약서를 쓸 당시 주5일에 야근이 있을 수는 있다고 했으나 주말근무에 대한 언급은 없었습니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토요일 근무(재택)을 하고 있으며 법정공휴일에도 재택근무로 근무를 하는 상황인데, 포괄임금제라는 명목하에 수당을 더 받지 못하는 것인지요?

계약서 7조에 따르면 주휴일이기에 유급휴가고, 이에 따라 재택근무여도 (시간 산정 가능) 해당 근무에 대한 추가 수당이나 대체 휴가를 받을 수 있는 것이 아닌지 여쭙고자 합니다.


3. 계약 사항과는 별개로 회사에서 출퇴근 기록 시스템이 있고 근무 시간을 파악하고 (야근이 많으면 업무가 많은 것이니 사람을 더 뽑아주겠다라는 명목)을 위해 출퇴근 체크를 장려하나 따로 관리를 하지는 않고, 저는 포괄임금제를 "근무 시간의 계산 불가"로 이해하여 출퇴근 시간을 따로 기록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와 같은 행동이 이후에 불이익으로 작용할 수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