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특히우아한요리사
특히우아한요리사

무역업종관련하여 궁금한게 있습니딘

직장에서 FTA업무를 진행중에

미국 트럼프 관세정책으로 인하여 관세통상업무까지

진행중입니다.

이직을 고려중인데 어떤 업무들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FTA 업무를 하셨다면 이직 시 확장 가능한 분야가 꽤 넓습니다. 관세사무소나 무역 컨설팅 회사에서는 원산지 관리, 인증수출자 운영, HS코드 검토 같은 전문성을 바로 활용할 수 있고, 대기업이나 제조업체에서는 통상팀무역실무팀에서 FTA 원산지 검증 대응, 수입관세 절감 전략, 대미대EU 통상 리스크 관리 등을 맡을 수 있습니다. 또 정부나 유관기관에서는 통상 협상 지원, 무역규제 대응, 정책 연구 쪽 수요도 있고, 최근엔 글로벌 공급망 재편 이슈로 통상관세 융합 인력에 대한 수요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FTA 업무를 하시다가 트럼프 행정부 이후 강화된 무역 규제나 보복 관세 대응까지 맡으셨다면 업무 범위가 자연스럽게 넓어진 상황으로 보입니다. 이직을 고민하신다면 크게 두 가지 방향이 눈에 띕니다. 첫째는 기업 내 무역실무팀이나 관세통상팀으로 옮겨서 HS코드 검토나 원산지 검증, 관세율 분석 같은 직접적인 통관 실무를 맡는 길이 있습니다. 둘째는 무역협회나 관세사무소처럼 자문이나 컨설팅 성격이 강한 곳으로 옮겨 기업 대신 FTA 활용, 통상 리스크 관리, 무역 분쟁 대응 같은 업무를 전문적으로 지원하는 자리입니다. 제 판단으로는 FTA 경험을 갖춘 분은 원산지 검증 대응이나 협정세율 적용 관리처럼 기업에서 특히 필요로 하는 역할을 맡기 쉽습니다. 특히 요즘은 통상 리스크 관리 역량을 중요하게 보니 이 부분을 어필하시면 기회가 더 넓어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현재 해당 부분은 사실상 FTA와는 크게 관련이 없습니다. 다만 관세에 대한 부과방법 및 부과대상에 대하여 공부하시면 도움이 될 듯하며, 실무자의 영역이라면 보통은 원산지관리사를 취득하시는 경우 이러한 부분을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될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