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역적 탐구 방법에서 양성 대조군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연혁적 탐구를 진행할 때에는 실험 설계 시에 음성 대조군과 실험군을 설정하게 되는데 그렇다면 양성 대조군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간단히 말해 실험이 제대로 잘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즉, 양성 대조군은 예상되는 긍정적 결과를 도출하는 실험 조건으로 실험 방법의 유효성 검증하고, 결과 도출에 실패하는 위음성의 오류 방지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양성 대조군은 실험 방법의 유효성 확인하기 위해 효과가 입증된 기존 항생제를 투여한 그룹에 해당하고, 음성 대조군은 효과가 없음을 확인하기 위헤 항생제가 없는 용매만 투여한 그룹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양성 대조군은 실험이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집단입니다. 이미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처리를 가하여 예상되는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나는지 확인함으로써, 실험 과정상의 오류나 문제점을 점검하고 실험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사용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양성 대조군은 이미 효과가 검증된 처리나, 조건을 저굥한 집단인데, 실험 체계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기준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서 항균제 실험으로 잘 알려진 항생제를 투여한 집단을 두면, 만약 이 집단에서도 효과가 안나타난다면 실험설계나 조건에 문제가 있음을 알수 이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질문해주신 것과 같이 연역적 탐구에서 실험 설계 시 가장 기본은 말씀하신 대로 음성 대조군(negative control): "효과가 없어야 하는 조건" 실험군(experimental group): "효과를 검증하려는 조건"인데, 여기에 더해지는 것이 바로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입니다. 양성대조군이란 "이미 효과가 입증된 조건"을 실험에 포함시킨 대조군으로 즉, 실험 방법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측정 체계가 정확한지 확인하기 위한 기준입니다. 이것이 필요한 이유는 실험의 타당성을 검증해야 하기 때문인데요, 만약 실험군에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면, 그 이유가 정말 효과가 없는 것인지, 아니면 실험 자체가 잘못된 것인지를 구분해야 하는 것입니다. 이때 양성 대조군은 "실험 조건에서 효과가 반드시 나와야 한다"는 기준을 줍니다. 또한 결과 비교를 위한 기준치를 제공하게 되는데요, 실험군의 효과 크기를 이미 알려진 효과(양성 대조군)와 비교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