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보험

의료 보험

명랑한코뿔소224
명랑한코뿔소224

병원 기준병실이 몇인실이 기준인건가요

실손보험에서 상급병실 이용하면 기준병실 기준의 차액 보상을 해준다는데 병원에 물어보니 기준병실이 없다고 해요 병원마다 다르겠지만 기준병실이 없는거면 1인실도 보상 다 해주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의료보험이 적용되어 본인부담금이 없는 병실을 기준으로 보시면 됩니다 병원마다 차이는 있을 수 있으며 보통 4~6인실을 기준으로 합니다 1인실이나 2인실을 이용 하려면 본인이 얼마를 부담해야한다고 합니다 이비용을 상급ㅇ병실 이용차액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병원 기준병실은 일반적으로 4인실 또는 5인실로 설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각 병원마다 기준병실이 다를 수 있으며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가장 저렴한 병실이 기준이 됩니다. 만약 병원에서 기준병실이 없다고 한다면 1인실에 입원할 경우에는 해당 병실의 비용을 전액 부담해야 할 수 있습니다. 상급병실 이용 시 차액 보상은 기준병실과 실제 이용한 병실의 차액에서 일정 비율로 보상되므로 병원에 문의하여 정확한 기준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권태민 보험전문가입니다.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일반병실 중 가장 저렴한 병실이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병원마다 건강보험에 적용되는 일반병실이 다름으로 해당 병원에서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제일 작은 병실을 기준으로 차액을 계산하시면 됩니다.

    해당 병원에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제일 작은 병실을 물어보시면 될듯합니다.

  •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현재 2인실까자 건강보험 적용이 가능합니다. 1인실부터 병실차액이 발생하면 실손의료비에서 하루한도 10만원 50%보장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선희 보험전문가입니다.

    병원마다 다르지만 4인실 또는 5인실이 대부분 기준병실이며 상급병실료 차액은 입원시 실제로 사용한 병실과 기준병실의 병실료 차액에서 50를 뺀 금액으로 한도는 10만원입니다.

  • 안녕하세요. 장재영 보험전문가입니다.

    병원별로 기준 병실이 다릅니다.

    기준 병실이 없을 경우 1인실에 입원하시면 1인실로 비용을 내야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