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잘못된 행동을 설명해주는것, 다그치는것?!

아이의 행동이 순간 순간 어긋나거나 잘못된 방향으로 갈 경우, 어떤 식으로 아이에게 이야기해주시나요? 설명을 통해서? 아니면, 혼내시나요? 말이 길어지면 잔소리가 되고, 어떻게 훈육해야 하는지 그 부모의 태도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아이가 바르지 못한 행동을 했을 때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가능하면 안내해준다고 생각하면 좋겠습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행동과 언어를 보게 되면 아주 가끔 잘못된 방향으로 흘러가는 경우를 마주하게 되는 순간이 있게 되는데요.

    이때는 아이의 행동과 언어에 대한 훈육은 단호하고 일관성이 있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단호함은 큰 소리 화를 내지 않고, 굵은 목소리로 일정한 톤을 유지하며 아이의 잘못된 행동과 언어를 짚어주고, 왜 지금 한 행동과 언어가 옳지 않았는지 이에 대한 이유를 아이의 이해를 도와가며 부드러운 톤으로 설명을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즉, 체벌을 하지 않고, 혼을 내지 않고도 언어적 소통으로 아이의 훈육은 가능 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이가 어긋나거나 잘못된 방향으로 가는 것이 고의가 아니고, 실수이고, 아이가 바르게 말하면 알아들을 수 있을 것 같거나, 아이가 여리거나 등 여러 성향이나 상황 등을 고려했을 때, 부드럽게 설명을 하는 게 효과적일 수도 있습니다.

    다만, 고의적이거나, 반항하는 모습을 보이거나, 스스로 잘못의 무게나 중요도를 인지하지 못하고 있거나, 바르게 말하면 문제 행동이 반복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어느 정도 권위를 가지고 (감정적으로 화를 내거나 소리를 지르라는 건 아닙니다.) 단호하게 훈육하는 게 효과적일 수도 있습니다.

    즉, 상황과 맥락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미선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의 행동이 순간 순간 어긋나거나 잘못된 방향으로 갈 경우, 어떤 식으로 아이에게 이야기해주시나요? 설명을 통해서? 아니면, 혼내시나요? 말이 길어지면 잔소리가 되고, 어떻게 훈육해야 하는지 그 부모의 태도가 궁금합니다!

    >>

    아이의 행동에 문제가 있을때는 바로 지적하여바른 행동이 아님을 알려주셔야 합니다.

    아이가 잘못된 행동임을 알고서도 행동에 임한다면 엄격한 훈육을 통해 교정할필요가 있으며 어떠한 점에서 잘못된것인지 이상황에서 바른 행동은어떤것인지를 대화를 통해 스스로 교정할수 있도록 도와주십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잘못된 행동을 설명해주실땐 아이입장에서 생각하며 대화를 해야하며 공감해주시는게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