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
실업급여 와 용역계약서의 관해서 여쭙고싶습니다.
4대보험을 받는 직장을 다니다가 퇴사후
다른 업체에 용역계약서를 작성 후 3.3% 프리랜서로 근무하면
4대보험 회사의 퇴사건의 실업급여를 타먹을수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호병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
근무 중인 상태에서는 실업급여 수급자격을 부여받을 수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1. 실업급여는 고용보험 가입한 최종직장 기준 1년안에 신청과 수급이 모두 완료되면 됩니다.
2. 따라서 3.3%로 일정기간 근무했어도 이전 직장에서 피보험단위기간 180일을 충족하고 비자발적 퇴사를 하였다면
실업급여 신청 및 수급이 가능합니다.
3.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노성균 노무사입니다.
취업사실 신고 없어
다른 업체에서 통상근무를 하는 것을 전제로 말씀하시는 것이라면
실업급여 부정수급에 해당하므로 향후에 문제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구직급여 수급자격 인정여부는 고용보험에 가입된 최종 이직하는 회사를 기준으로 판단하므로, 고용보험에 가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해당 근로를 제공하였다면 종전 회사를 기준으로 구직급여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다만, 소정급여일수가 남아있더라도 이직 후 1년 이내에 신청하지 않을 시 구직급여를 수급할 수 없다는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실제로 근로자로 일하면서 형식만 3.3% 프리랜서로 신고하는 건 위법입니다. 4대보험 직장에서 비자발적 퇴사했으면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