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작은줄나비268
작은줄나비26821.02.26

융자금 큰 오피스텔 전세 7,000 들어가도 될까요?

집주인이 건설업으로 직접지어 오피스텔 건물을 통으로 가지고 있는 오피스텔입니다

가 계약 후 등기부등본을 볼수있다길랴

제가 인터넷으로 발급해서 먼저 확인 했습니다

그런데 근저당이 33억이 더라구요

근저당 얘기를하니 세대수로 나누면 4천 정도다

라고 했는데도 제가 생각하는 근저당 기준에 너무 높게 설정되어있는것같아서 계약 보류하고 나왔습니다

지은지는 6년된 오피스텔이고

그동안 탈은 없던것같은데 사람일은 어떻게 될지 모르는거니 걱정됩니다

또 전세보증보험을 물어봤더니 근저당이 높아서 보험도 안된다고 하더라구요

오피스텔 계약해도 괜찮은가요?

근저당이 높아 전세도 7,000만 받는거라던데

이런경우 차 후 안전하게 전세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네, 지금과 같이 전세시장이 불안하고 정부의 정책이 강력할때는, 부동산시장에 신규자금 유입이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특히 이런 불안정한 요건들은 평소보다 더 위험한 것이지요 (*반대로 이야기하면, 부동산시장이 활활할땐 그만큼 레버리지로 건설/투자/매매==> 재투자 등등 공돈으로 돈 버는 사람들이 많다는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

    그러므로, 지금과 같은 시기에는 보수적으로 그냥 기존의 거주처에 계시면서, 꼭 직장이나 피치못할 사정으로 타지역으로 가야할 경우 원룸월세 등을 활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만약, 꼭 신규주택 구매해야한다면(뭐 신혼부부라던지 그런 사정이 있겠지요) 정상적인 Mortgage로 선입금 30% + Monthly 납입금 구매하는 신규주택이 차라리 안전하다고 생각됩니다. (물론 믿을수 있는 시행사를 선택해야하겠습니다.)

    이런 경우에도 사실, 지금처럼 뭔가 정부의 개입이많고 시장의 안정성방향이 눈에 안들어올때는 일단 월세 등으로 거주를 하시는게 안정적입니다.. 그런것도 염두에 두시고 반려자분 등에 설득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

    ****예전에 활황기에 잘못꼭지점 위에서 전세/무리한 매매하시고 몇년간 장기간 애먹으시는 분들을 주위에서 많이보아서 조언을 드리는 것입니다

    그럼 항상 투자 대박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