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밤잠많은모기2
밤잠많은모기2

명목 gdp와 실질 gdp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재테크나 경제 기사를 보다보면 gdp와 관련된 이야기가 나오는데 이 gdp가 명목 gdp와 실질 gdp 2가지로 나뉘더군요. 우리나라는 과거에는 실질 gdp가 높았는데 최근에는 명목 gdp가 높아지는 추세로 보입니다.

근데 명목 gdp와 실질 gdp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명목 GDP는 현재 시장 가격으로 산출해 물가 변동의 영향을 받습니다. 반면 실질 GDP는 기준연도의 가격을 적용해 물가 효과를 제거한 경제 성장률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실질 GDP가 실제 경제 성장의 흐름을 더 정확히 반영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명목 GDP는 통화가치 P와 수량 Q를 모두 곱한것을 말합니다 즉 통화로 표시되는 단가와 Q의 합이로면 실질 GDP는 단위의 통화가치는 상승을 하든 하락하든 동일하게 두고 수량 Q만 비교해서 산출한것입니다

    즉 P가 상승하고 Q만 동일하면 명목 GDP는 상승하는것이며 이를 물가상승을 제외한 생산가치분을 실질 GDP라고 표현하는것입니다

    즉 실질은 결국 생산량 즉 산출량 자체만을 비교해서 나타난 가치라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명목 gdp의 경우에는 해당년도의 그당시의 가격인 시장가격으로 계산한 국내총생산을 의미합니다. 실질 gdp의 경우에는 특정한 년도인 기준년도를 기준으로 한 가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러한 두 가지의 차이는 명목 gdp가 경제의 규모의 전반적인 크기를 파악하기 위함이며, 실질 gdp가 경제 성장률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라는 큰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명목 GDP와 실질 GDP의 가장 큰 차이는 물가 변동 반영인데요. 명목 GDP는 해당 연도의 시장 가격을 그대로 사용하여 모든 생산물의 가치를 합산한 것으로, 경제 규모의 절대적인 크기를 알수있지만 물가 상승으로 인한 착시 효과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질 GDP는 특정 기준 연도의 고정된 가격을 적용하여 계산함으로써 물가 변동의 영향을 제거한 것으로, 실제로 생산량이 얼마나 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명목 GDP는 그 해에 생산된 최종 생산물의 생산량에 당해 연도의 시장 가격을 곱하여 계산합니다. 쉽게 말해, 물가 상승분을 그대로 반영한 지표입니다. 따라서 물가가 오르면 생산량의 변화가 없더라도 명목 GDP는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한 나라의 경제 규모나 산업 구조를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실질 GDP는 생산량에 특정 기준 연도의 가격을 곱하여 계산합니다. 물가 변동의 영향을 제거하고 오직 생산량의 변화만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이는 한 국가의 실질적인 경제 성장률을 측정하는 데 주로 사용됩니다. 경제 성장률을 이야기할 때 별다른 언급이 없다면 대부분 이 실질 GDP 성장률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명목 GDP는 해당 연도 생산량에 당해 연도 시장가격을 곱해 산출해 물가 상승분이 반영되며, 실질 GDP는 생산량에 기준 연도 가격을 곱해 물가 변동을 제거하고 실제 생산량 변동만 반영합니다. 명목 GDP는 경제 규모 파악에, 실질 GDP는 경제성장률 측정에 주로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명목(nominal)과 실질(real)의 차이는 단순합니다. 물가 상승률을 고려했는지 여부 차이입니다.

    가령, 명목 성장율이 5%이고 물가 상승률이 2%이면 실질 성장률은 3%가 되는 것입니다.

    이는 명목 이자율과 실질 이자율, 명목 임금과 실질 임금 계산 시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전문가입니다.

    GDP의 경우 국내총생산이며, 명목과 실질의 차이는 물가상승률을 반영하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 물가상승률을 반영하지않는 GDP가 명목GDP 물가상승률을 반영하면 실질 GDP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명목과 실질 GDP의 차이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가장 주요한 차이점은 물가 변동을 GDP에 반영하는지 여부에 대한 내용입니다.

    즉, 명목 GDP는 물가 변동을 반영하고

    실질 GDP는 반영하지 않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명목 GDP는 기준 연도의 현재 시장가를 기준으로 생산된 상품이나 서비스의 총합을 말하며,

    실질 GDP는 기준 연도의 가격을 기준으로 현재 상품이나 서비스의 생산량을 계산한 것입니다. 가격이 고정되어 물가 변동을 제외하는 것이지요.

    정부에서 정책을 수립할때 실질GDP를 기준으로 정책 결정을 하며, 명목GDP의 경우 물가상승으로 인해 정확하게 반영이 안될 수 있어 서로 필요에 의해 통계를 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gdp 얘기 나올 때 명목이니 실질이니 헷갈릴 수밖에 없죠. 쉽게 말하면 명목 gdp는 물가 변동까지 그대로 반영한 값이라서 그 해의 시장 가격으로 계산한다고 합니다. 실질 gdp는 물가를 일정 기준 연도의 수준으로 맞춰서 계산하기 때문에 경제가 실제로 얼마나 성장했는지를 보여준다고 합니다. 제 생각에는 투자나 재테크에서 시장의 체감을 알려면 명목 수치를 보는 게 더 직관적일 수 있습니다. 다만 경기 흐름을 제대로 파악하려면 실질 gdp가 중요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