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월 아기 차가 멈추면우는데 왜 그런건가요?
카시트타고 이동시 차가 멈추거나 속도가 느리면 울고 차가 어느정도 속도를 내고가야 멈추는데 원래 그런건가요? 어떻게 달래줘야하는지 신호걸릴때마다 조마조마합니다ㅠ
-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차가 움직일때 미세하게 진동과 흔들림이 있는데 그것으로 아기는 안정감을 찾을 수 있습니다. 흔들리는 해먹에서 잘 자는 이치와 같습니다. - 그것이 멈췄을때는 불편해 지는 것이지요. 
-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차가 달리는 동안에는 진동에 의해 잘 자다가 멈추면 진동이 없어지니 잠이 깨는 것 같습니다. 차가 멈추기 전에 토닥토닥 해주시거나 안정시킬 수 있는 애착 인형 등을 쥐어주시면 아이가 안심하고 계속 잠을 청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가 아무래도 차가 멈추면 차의 떨림과 - 불안하여서 아이가 우는 것으로 보여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차량의 떨림은 아이가 안정감을 느끼는 것이 될수있습니다 - 그렇기에 갑작스러운 변화에 아이는 적응을 못하고 울수도 있을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기들마다 다른 것 같습니다 - 6개월이면 차를 많이 타본 경험이 없어서 차를 두려워 하거나, 심리적으로 불안감을 갖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아가 손에 딸랑이를 쥐어 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의 성향인 것 같아요. - 뒷좌석에 아기만 태우지 마시고, 엄마가 아가 바로 옆에 앉아서 차가 멈출 때쯤엔 아기를 안아 주는 게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신생아나 영유아의 경우 차를 탈 때 멀미로 인해서 자는 등의 - 행동을 한다고 합니다. 다만 이는 주행중일 때라고 하며 차가 정차하거나 - 속도가 느려지면 아이가 멀미증상을 느끼지 않아 울음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 있다고 하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원래그렇습니다 - 움직이는반응은 태내의 안정감을주는데 멈추면 그런안정감이주니 울수도있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가 멈춘줄 알았으나 다시 - 차가 가는 등 하여 우는 것으로 보이니 -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