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1학년 언제까지 같이 등교하는게 좋을까요?
아들이 이제 초등학교에 입학했는데 등하원시 다 데려다 주고 데리러 갑니다. 학교 앞에 가면 다른 학부모님들도 많은데요. 보통 언제까지 데려다 주나요? 저희 헉교가 집에서 걸어서 5분 거리인데 혼자 갈 수도 있을 거 같어소 고민이 되네요
안녕하세요. 송신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언제까지 데려다줘야 하는지의 기준이나 기간은 따로 없습니다.
아이가 원하는 경우라면 계속 데려다 주는 것도 정서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안전 상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횡단보도를 건너는 방법 등을 가르쳐줄 필요가 있겠습니다.
만약 동네에 함께 등교할 수 있는 친구가 있다면 차츰 혼자서 등교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는 것도 좋겠습니다.
아이와 의논해서 결정하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등교길이 위험한지 아닌지가 중요합니다.위험한길이라면 같이 다녀주셔야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은 아이가 초등학교 2학년정도까지 같이 등원하긴 하나 이는 아이의 성향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수있을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의 성향마다 전부 다릅니다. 아이가 가족간 애착이 큰 경우
고학년까지도 등원을 함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은 고학년시기가 되면서
친구들이 많아지고 친구들과 등원한다는 경우가 흔해지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혼자갈수있다면
시도해보고잘가는것같으면
그때부터혼자보내셔도되요
아이의자립성에따라
7세부터도유치원부터해서 혼자가곤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등교를 함께 하는 이유로는 불안감 감소, 안정감 유지, 교통 안전 확보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녀가 스스로 독립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점차적으로 혼자서 등교하는 연습을 시켜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초등학교 입학 후 아이를 등하원하는 것은 가족 상황과 아이의 성숙도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1학년 때는 부모의 도움이 필요하나, 시간이 지날수록 아이의 독립심을 키우기 위해 스스로 가는 것이 좋습니다. 5분 거리라면 아이의 안전을 고려하여 부모의 판단하에 적절한 시기에 독립적으로 등하원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학부모들 간의 소통을 통해 아이들이 서로 돌봐주며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서서히 아이의 독립에 대한 자신감을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권명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초등학교 입학을 하게되면 부모님들이 대부분 일주일정도는 아이를 데려다 주기도 하고 3~4일정도 데려다 주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집이 5분 거리니 아이가 혼자서 하교를 잘 한다고 하면 아이에게 혼자 갈수 있냐고 물어보고 결정하시는것도 좋을듯 합니다. 혼자갈수 있다고 하면 하루정도는 몰래 따라가보는것도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