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숩숩숩
숩숩숩

동물들도 혈액형이라는게 존재하는지 궁금합니다. 어떻게 나뉘나요 ?

안녕하세요 ? 동물들의 경우도 혈액형이라는 것이 존재하는 지 궁금합니다. 사람처럼 ABO형식으로 나뉘는지요 ? 아니면 동물들 그 종들만의 혈액형 구분 방식이 따로 존재하는지요 ? 동물들도 수술시에 수혈을 받을때 그렇게 혈액형에 맞춰서 수혈을 받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네, 동물들도 혈액형이 존재합니다. 사람과 마찬가지로 동물들도 다양한 혈액형을 가지고 있으며, 이 혈액형은 동물의 종마다 다르게 나뉩니다. 혈액형의 분류는 종마다 다르며, 사람의 ABO 방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구분됩니다. 개의 경우, 12개 이상의 서로 다른 혈액형이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DEA (Dog Erythrocyte Antigen) 시스템입니다. DEA 1.1, 1.2, 3, 4, 5, 7 등으로 분류됩니다. 특히 DEA 1.1이 가장 중요한 혈액형으로 간주됩니다. 개들은 처음 수혈할 때는 혈액형이 맞지 않더라도 큰 문제가 생기지 않을 수 있지만, 이후에는 반드시 혈액형이 맞는 혈액을 사용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면역 반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고양이는 주로 A형, B형, 그리고 AB형이라는 세 가지 주요 혈액형을 가집니다. A형이 가장 흔하며, B형은 특정 품종에서 더 흔합니다. AB형은 매우 드뭅니다. 고양이의 경우, 혈액형이 맞지 않는 혈액을 수혈하면 즉각적으로 심각한 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수혈 전에 반드시 혈액형 검사가 필요합니다. 말은 30개 이상의 혈액형 항원이 있으며, 주로 A, C, D, K, P, Q, U 등의 시스템으로 나뉩니다. 이 중 몇 가지가 주요 혈액형으로 간주되며, 말도 수혈 시 혈액형을 고려해야 하며, 가능하다면 동종 혈액형의 혈액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외에 돼지, 양, 염소, 새 등도 각각의 혈액형 시스템을 가지고 있습니다. 각 동물마다 혈액형 시스템은 다르며, 특정한 항원에 따라 분류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동물들도 혈액형이 존재하며, 각 종마다 다양한 혈액형이 존재합니다. 사람과 마찬가지로 동물도 ABO 형식으로 혈액형을 구분하기도 하지만, 동물들 각각의 종마다 고유한 혈액형 구분 방식이 존재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강아지의 경우에는 DEA형식으로 혈액형을 나누어 구분합니다. DEA 형식에는 DEA 1.1, DEA 1.2, DEA 3, DEA 4 등 다양한 혈액형이 있습니다. 이러한 혈액형은 강아지의 혈액 수혈이나 임신 시 발생할 수 있는 항체 반응을 예방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동물들도 수술이나 응급 상황에서 수혈을 받아야 할 때는 최대한 혈액형에 맞춰서 수혈을 시도합니다. 혈액형이 맞지 않는 경우에는 수혈 과정에서 항체 반응이 발생하여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수혈 시에는 가능한 혈액형을 확인하고 안전하게 수혈을 시행합니다.

  • 네, 동물들도 혈액형이 있습니다. 하지만, 동물의 혈액형은 말씀하신 사람의 ABO식 혈액형과 다릅니다.

    즉, 모든 동물들은 각자의 혈액형 시스템을 가지고 있어 사람과 같은 방식으로 구분되지는 않는 것이죠.

    물론 ABO식 혈액형으로 나눌 수 있는 침팬지나 고릴라 같은 유인원 종이 있긴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 역시 사람과 동일한 혈액 시스템은 아닙니다.

    개의 혈액형은 DEA(Dog Erythrocyte Antigen System)에 의해 구별되며 13가지 혈액형이 있지만 중요한 혈액형은 7가지입니다. 고양이의 경우 A, B, AB의 3가지 혈액형을 가지고 있으며, 소는 A, B, C, F-V, J, L, M, N, S, Z, R’-S’, T’ 등 12가지 혈액형이 있습니다.

    말은 7가지 혈액형을 가지고 있고 면양은 8가지 혈액형을 가지고 있으며 닭은 13가지 혈액형을 가지고 있고 돼지도 15가지의 혈액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처럼 동물들은 각기 다양한 혈액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동물도 혈액형이 당연히 다르게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고양이 같은 경우, B형과 AB형이 있습니다. 강아지든 고양이든 crossmatching 후에 수혈을 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동물들도 혈액형이 존재하며, 사람과는 다른 방식으로 나뉩니다. 예를 들어, 개는 8가지 이상의 혈액형이 있으며, 고양이는 A, B, AB의 세 가지 혈액형이 있습니다. 동물마다 혈액형 구분 방식이 다르며, 수혈 시에도 맞는 혈액형을 찾아야 합니다. 잘못된 혈액형의 피를 수혈하면 면역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에, 수술 전에 혈액형 검사를 통해 적합한 혈액을 사용해야 합니다.